추천도서후기

[호재라이언] 독서후기 - 자본주의

  • 24.06.10

68.우리는 생존해야 한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작은 것이라도, 낮은 위치에서라도 미래를 위해 끊임없이 뭔가를 하면서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가야한다. 비록 지금은 그것이 마음에 차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도전하며 생존을 꿈꾸어야 한다. 자본주의 세상에서는 추운 겨울을 지내고 나면 따뜻한 봄이 오기 때문이다.


90.자본주의 구조 안에서 돈은 빚이다. 이자가 존재하지 않는 시스템 안에서 우리는 돈의 노예가 될 수 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누군가 파산을 해야 누군가가 돈을 벌 수 있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더욱더 우리는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안목을 가져야 한다. 미국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그래서 우리나라의 금융 정책은 어떻게 바뀔지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자본주의 시스템 때문에 피해를 입었다고 구조적인 것만 탓해 봐야 우리에게 남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아무런 도움을 받을 수 없다.


186.금융상품 판매잗들에게 제대로 설명해달라 모르겠으니 다시 설명해달라 이상품이 얼마나 위험한 상품인지 학실하게 알려달라고 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바로 그것이 본인의 선택이 가져올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낭 우선시해야할 중요한 원칙 중 하나이다. 우리는 스스로 자신을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285.지난 250년 동안 자본주의는 주기적으로 위기의 파도를 넘어왔다. 그때마다 새로운 경제학의 아이디어는 우리에게 위기를 헤쳐나갈 나침반이 되어 주었다.


385.인류 역사상 등장했던 그 어떤 체제도 자본주의를 이기지 못했다. 그리고 자본주의는 지금껏 막대한 인류의 부를 만들어내었던 근본적인 동력이자 시스템이 되어 왔다. 문제는 누구를 위한 자본주의가 돼야 하는 점이다. 지금까지 자본주의는 자본가, 은행, 정부를 위한 자본주의 였다. 자본주의의 혜택은 이제 99%의 평범한 사람들에게 돌아갈 때가 되었다.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그 강력한 성장엔진을 우리 모두를 위해 나누어 써야 할 대가 된 것이다. 낙오자가 될 수 있다는 사람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소득의 불균형을 해결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더 행복한 자본주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모습이 바로 가장 영속 가능한 자본주의는 아닐까, 하는 제언을 감히 해본다.


*느낀점

막 20살이 되고 나서 용돈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했었다. 학교에 입학하기 전 잠깐 일을 했고 100만원이 넘는 몫돈이 처음 살면서 들어왔었다. 친구들과 놀러가는 길에 현금을 인출하려고 창구에 갔다. 그 창구에 있던 직원이 나에게 펀드에 가입해볼 것을 추천했다. 통장에 돈이 꽤 있는 것 같은데 이거 그대로 둘거에요? 펀드 한번 들어보는거 어때요? 라는 말에 무작정 가입했다. 친구들이 나를 기다리다가, 돈 뽑으러 간 사람이 너무 안오니까 무슨일이 일어났나 싶어서 은행에 들어가보니 펀드에 가입하고 있는 나를 본 것이다. 이게 무슨 상품인데? 라는 친구들의 질문에 답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무지한 상태에서 가입을 했고, 그렇게 돈을 벌 수 있을 줄 알았다. 하지만 결과는 마이너스 였다. 그 때는 생각했다. 아 펀드같은건 다 허상이구나, 투자는 하는게 아니야. 적금이 정답이다. 그 이후로 나는 적금만했다.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우체국 적금 등등 상품을 찾아서 적금을 했다. 근데 아무리 조건이 좋은 적금을 들어도 돈을 벌 수 없었다. 학생은 몫돈이 없으니 이자가 들어와도 큰 의미가 없었다. 그 때 생각했다. 아! 돈을 많이 벌어야 적금을 넣어도 이자가 높구나..! 돈을 벌어야 겠다. 하지만 돈을 벌어도 인플레이션을 이길 만큼의 이자가 들어오지 않았다. 이자로 먹고 산다는게 얼마나 어려운지 그 때 알았던 것 같다. 이게 내가 느낀 자본주의의 현실이었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또 한번 느꼈다. 자본주의라는 큰 파도에서 내가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중요한지를. 과거에는 자본주의라는 큰 바다에서 구명조끼를 입고 버티고 있었던 정도라면, 지금은 배를 타고 앞으로 가고 있는 느낌이 든다. 그만큼 알게 되었고, 행동으로 옮겼고 이제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자본주의에서 우리가 할 일은 명확하다. 돈에 대한 공부다. 돈을 알아야 자본주의 흐름을 탈 수 있다. 시장이 기회를 줄 때 까지 플레이어로 남아야 한다 라는 말을 많이 하기도 하고 듣기도 한다. 시장은 기회를 준다. 다만 그 기회는 자본주의에서 돈의 개념을 알고 준비하고 행동하는 사람만 얻을 수 있다.


댓글


츄그릿
24. 06. 10. 21:31

호재반장님! 자본주의 저도 다시 읽어보고 싶네요^^ 후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