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초보자 BEST]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너바나, 자음과모음, 주우이

안녕하세요
행복한 나눔을 함께하는 라이프리 입니다.

혹시 이런 뉴스기사 보신적 있으신가요 ?

'월세화'
어디선가 들어본 익숙한 단어,
알고있다면 '에이 설마' 하는 단어
우리와 같은
전세 레버리지 투자자에게는
투자의 이면과 같이
실현되지 않았으면
하는 내용인 것 같습니다.

'결국엔 오르는 집값의 비밀'
도서로 자모님과 독서모임을 하며
월세화에 대해 고민을 해보았는데요.
오늘은 책 내용을 기반으로
월세화란 무엇인지,
진짜 월세화의 가능성은 있는지.
대응하는 투자 전략까지 살펴보겠습니다 !
월세화는 단순히
'월세 거래가 늘어난다'의 개념이 아닌,
주택시장 표준 임대계약 방식이
전세 ⇒ 월세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월세가 주된 거래방식이 된다면
우리같은 전세투자자에게는
큰 리스크가 될 수 있겠죠 ??
책에서 나오는 내용으로
월세화는 크게 거시적인 관점과
미시적인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데요 !
정리를 해보면 이렇습니다.

어렵죠 ????
간단히 정리하자면,
①금융시장이 성숙해지면서
(선진화가 되면서)
②전세가율이 높아지고
(성장이 낮아지고)
③전세리스크가 커지면서
(전세사기, 시세차익 ▼)
④월세를 선호하게 될 것이다 !
요렇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ㅎㅎ
(그래도 어렵나유.. ??)

해당 그래프는
전세상승률&기준금리&전세가율
전세가와 연관되어있는 그래프입니다.
음영이 칠해지지 않은 부분은
과거 '월세화'가 된다라고
뉴스가 많이 나오던
시기들을 표기해보았는데요 !
주요 월세화가 언급되었던 시기를 보면,
1. 국가 경제위기
2. 전세난(전세폭등)
3. 고금리
상황일때인데요.
전세와 관련된 수치들이
오르고 내리고하는 공통점보다는
'시기'와 '상황'에 대해
월세화가 언급되는걸 볼 수 있습니다.
과거 뉴스들을 보아도

15년전에도 1인가구는 증가했고,
10년전에도 고금리, 전세대란
지금과 똑같은 이슈들이 있었습니다.
지금 우리의 상황은
대출규제 & 고금리 & 전세사기 우려 등..
과거와 같이
전세의 매력이 떨어지고
월세의 '선호'보다는
'필요'에 의해 선택되는걸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시기의 이슈가 해소되면
다시 전세로 돌아왔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전세를 기본적으로
더 좋아하기 때문이죠 ! )
지금의 고금리&대출규제가 해소되면
다시금 월세화 언급은 쏘옥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금리가 지속되어
대출이자보다 월세가 더 싸다면
당연히 월세를 선호할 수 있는...!!!
계산기로 움직이는 시기이기에
월세화가 가속될 수 있습니다.
만약에..!
고금리가 지속되어 월세가
전세대출이자보다 계속 싸다면,
정부정책이 전세→월세로 바뀐다면 !
우리같은 전세투자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월세화가 된다면 반전세 투자를 통해
전세금을 올리지 않고
월세관리를 해나가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노후준비를 위한 현금흐름 정도는
충분히 가능할 것 같거든요 !
+ 리스크 헷지를 위해 더욱 싸게사고
월세니 월간 관리를 해야하는
관리상의 까다로움이 생길 것 같습니다.

사실 월세투자나 전세투자나
'투자'라는 측면에서 본질은 동일합니다.
가치 있는 자산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
이 글을 통해서
월세화에 대한 우려보다는,
투자의 본질을 지키며
꾸준히 앞마당 늘리고
단지의 가치와 가격을 알아간다면
월세투자나 전세투자나
우리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모든 월부인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리
①월세화는 표준 계약방식이
전세 → 월세로 변화하는 것
②월세화는 트렌드로 변하기보다
고금리 등 이슈로 언급된다
(이슈해소되면 언급 X)
③월세화가 된다면
반전세투자가 유효할 수 있다
(그러나 월세화는 쉽지않다)
④그냥 우리할거 계속 해나간다.
월급쟁이부자들은 월급쟁이들의 내집마련과 행복한 노후를 돕습니다.
원하는 목표 꼭 이룰 수 있도록 월부가 함께 하겠습니다. 투자자로서 경험한 실제 투자 이야기를 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