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직장인이 "아직도" 모른다는 필수 상식 QUIZ💡

정답과 해설은 퀴즈 바로 밑에 있어요

직장생활 좀 해보셨다면 최소 10문제는 맞혀야 합니다😉

 

  1. 복리후생비는 세금과 4대 보험 계산에 포함된다. (O,X)
     

  2. 특별상여금에는 세금이 없다.(O,X)
     

  3. 소득세는 급여소득,상여금,부양가족 수에 따라 등급이 달라진다.(O,X)
     

  4. 근로소득세, 갑종근로소득세, 갑근세는 모두 같은 말이다.(O,X)
     

  5. 소득세가 국가에 납부하는 세금이라면 지방소득세는 구청에 납부하는 세금이다.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00%다.

    (주관식)
     

  6. 직장인은 각종 실비수당과 복리후생비를 제외한 지급액계의 9%를 국민연금으로 납부하게 된다.(O,X)
     

  7. 국민 연금과 건강보험은 선택에 따라 가입하는 사회보험이다.(O,X)
     

  8. 국민연금은 개인이 납부한 금액만큼 나중에 그대로 돌려받는다.(O,X)
     

  9. 가족이 많아도 건강보험료는 증가하지 않는다.(O,X)
     

  10. 건강보험료는 월급이 많을수록 더 많이 내야 한다.(O,X)
     

  11. 실업급여는 고용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았어도 받을 수 있다.(O,X)
     

  12. 다음 중 회사에서 정한 연차나 월차를 초과해서 쉬면, 그만큼 월급에서 차감되는 것을 뜻하는 용어를 고르시오.

① 연차차감
② 결근공제 
③ 급여조정
④ 초과근무공제
 

13. 세전소득을 기준으로 한 달의 소비 생활과 재테크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O,X)

14. 다음 중 4대 보험에 속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국민연금
② 건강보험
③ 퇴직연금
④ 고용보험
 

15. 건강보험료는 월급에서 2%가 나간다.(O,X)
 

16. 다음 중 비과세 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자가운전보조금
② 연말상여금 
③ 실비급여
④ 자녀보육수당
 

17. 세금 매기는 ‘대상 금액’을 줄여 주는 것을 세액공제라고 부른다.(O,X)

18. 회사가 대신 국가에 세금을 내주는 방식을 00징수라고 부른다. (주관식)
 

19. 월급을 받는 직장인은 별도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필요가 없다. (O,X)
 

20. 직장인이 회사에서 받는 식대는 전액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O,X)

 

 

 

🏆 아깝게 틀린 문제가 있나요?

 

‘엥? 왜 O지? X 아니야?’ 싶은 문제 있으셨죠?

월급 퀴즈 해설 확인하고 진짜 이해하고 가세요! 👀✨

 

해설은 어렵지 않아요! 

쉽게, 쏙쏙 외워질 수 있도록 정리했어요.

 

아래로 내려보세요!
딱 5분 투자로 월급 개념 확실히 잡고 가요 💰🔥

 

 

 


 

 

<문제 1>  복리후생비는 세금과 4대 보험 계산에 포함된다. (O,X)


정답: X

 

🔍 해설:  회사에서 밥값이나 교통비를 지원해주는 돈을 복리후생비라고 해요.이 돈은 월급과는 별도로 주어지는데, 세금이나 4대 보험료를 계산할 때 포함되지 않아요. 왜냐하면, 비과세 항목으로 분류되기 때문이죠. 즉, 이런 지원금에는 세금이 붙지 않아서 여러분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상식꿀팁: 회사에서 주는 식사비는 월 20만 원까지 세금이 없어요.
 

 

<문제2> 특별상여금에는 세금이 없다.(O,X)

 

정답: X


🔍 해설: 특별상여금은 회사에서 성과나 명절 등에 주는 보너스예요. 하지만 월급과 마찬가지로 소득세와 4대 보험료가 공제돼요.즉, 세금을 떼고 나서 받는 거라서 실제 수령액이 줄어들 수 있어요!

 

🍯상식꿀팁: 퇴직금은 상여금이랑 다르게 4대 보험료를 안 떼요!

 

 

<문제3> 소득세는 급여소득,상여금,부양가족 수에 따라 등급이 달라진다.(O,X)

 

✅정답: O


 🔍 해설: 소득세는 우리가 번 돈에 따라 내는 세금이에요. 그런데 이 소득세는 얼마를 버는지(급여소득과 상여금)와 부양가족 수에 따라 내는 금액이 달라져요. 즉, 월급이나 보너스가 많을수록 세금이 늘어나고,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세금이 줄어드는 구조랍니다. 이렇게 소득과 부양가족 수에 따라 세금 등급이 달라지는 것을 간이세액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요.

 

🍯상식꿀팁: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간이세액표를 활용해 나의 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어요!

 

 

<문제4> 근로소득세, 갑종근로소득세, 갑근세는 모두 같은 말이다.(O,X)

 

✅ 정답: O


 🔍 해설: 근로소득세는 우리가 일해서 받는 월급에 붙는 세금이에요. 그런데 ‘갑종근로소득세’라는 말도 들어봤을 거예요. 이건 예전에 근로소득세를 부르던 이름이에요. ‘갑근세’는 ‘갑종근로소득세’를 줄인 말이죠. 즉, 근로소득세, 갑종근로소득세, 갑근세는 모두 같은 의미랍니다. 요즘은 근로소득세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해요.

 

 

<문제5> 소득세가 국가에 납부하는 세금이라면 지방소득세는 구청에 납부하는 세금이다.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00%다.

 

✅ 정답: 10%

 

 🔍 해설: 소득세는 국가에 내는 세금, 지방소득세는 거주하는 지역(구청)에 내는 세금이에요. 즉, 우리가 소득세를 내면, 그 금액의 10%를 추가로 지방소득세로 내야 해요. 예를 들어, 소득세가 100만 원이면, 지방소득세는 10만 원! 이렇게 소득세와 별도로 지방소득세를 내는 이유는 지역 운영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서랍니다.

 


 

<문제6> 직장인은 각종 실비수당과 복리후생비를 제외한 지급액계의 9%를 국민연금으로 납부하게 된다.(O,X)
 

✅ 정답: X (4.5%)

 

🔍 해설: 국민연금은 미래를 위한 월급 저축 같은 거예요. 직장인은 월급에서 일정 금액을 국민연금 보험료로 납부해야 해요. 그런데! 여기서 헷갈리면 안 되는 게 있어요.💡 국민연금 보험료는 ‘총 9%’지만, 이걸 혼자 다 내는 게 아니에요!
직원(본인) 4.5% + 회사 4.5% 해서 반반 부담하는 구조예요.

 

🍯상식꿀팁: 국민연금을 10년 이상 납부하면, 만 63세(2025년 기준) 이후부터 매달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납부하는 보험료가 나중에 노후 생활비로 돌아오는 구조입니다.

 

 

 

 

<문제7> 국민 연금과 건강보험은 선택에 따라 가입하는 사회보험이다.(O,X)
 

✅ 정답: X (의무 가입)

 

🔍 해설:  선택이 아닌 국민의 의무예요.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이 대상입니다.

 

 

 

 

<문제8> 국민연금은 개인이 납부한 금액만큼 나중에 그대로 돌려받는다.(O,X)

 

✅ 정답: X 

 

🔍 해설:  국민연금은 우리가 일정 기간 동안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은퇴 후 매달 연금 형태로 받는 제도예요.
하지만 내가 낸 돈을 그대로 돌려받는 건 아니에요. 납부한 금액, 가입 기간, 수급 시기, 평균 소득 수준 등에 따라
받는 연금액이 달라져요. 즉, 내가 낸 돈보다 더 많이 받을 수도, 적게 받을 수도 있답니다.

 

🍯상식꿀팁:  가입 기간이 길수록, 납부한 금액이 많을수록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으니 꾸준히 납부하는 게 중요해요!

 

 

<문제9> 가족이 많아도 건강보험료는 증가하지 않는다.(O,X)
 

✅ 정답:O 

 

🔍 해설: 건강보험료는 내 월급을 기준으로 계산돼요. 즉, 가족이 몇 명이든 월급이 같다면 건강보험료도 똑같아요!

 왜냐하면, 건강보험은 직장인이 벌어들이는 돈을 보고 정해지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만약 가족 중 누군가가 돈을 많이 벌거나 집이나 땅 같은 재산이 많아지면,그 가족은 건강보험에서 "가족 할인"을 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될 수도 있어요. 그렇게 되면, 그 가족은 따로 건강보험료를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상식꿀팁: 부모님을 피부양자로 등록하면 따로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돼요! 단, 부모님의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을 넘지 않아야 해요.


 

 

<문제10> 건강보험료는 월급이 많을수록 더 많이 내야 한다.(O,X)

 

✅ 정답:O 


 🔍 해설: 건강보험료는 월급에 따라 결정돼요. 즉, 월급이 많을수록 더 많은 보험료를 내게 되는 구조예요. 왜냐하면, 소득이 높을수록 더 많은 기여를 통해 모두가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죠.

 

🍯상식꿀팁: 퇴직 후에는 건강보험료 산정 방식이 달라질 수 있어요. 직장에서 퇴직하면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는데,이때는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도 보험료 산정에 반영될 수 있으니 미리 대비하는 것이 좋아요.

 

 

 

<문제11> 실업급여는 고용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았어도 받을 수 있다.(O,X)

 

✅ 정답: X
 

🔍 해설: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했을 때 재취업을 돕기 위해 지급되는 돈이에요.

  •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 이직 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해요.
    ✔️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어야 해요.
  • 고용보험 가입이 안 되어 있다면?
    👉 근로자가 직접 고용센터에 신고하면, 소급 가입을 통해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해요!
    👉 회사가 보험료를 안 냈어도, 월급에서 보험료가 공제됐다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어요.


     

<문제12> 다음 중 회사에서 정한 연차나 월차를 초과해서 쉬면, 그만큼 월급에서 차감되는 것을 뜻하는 용어를 고르시오.

① 연차차감
② 결근공제 
③ 급여조정
④ 초과근무공제

 

✅ 정답: 2번 (결근공제)

 

🔍 해설: 회사는 직원이 정해진 연차(유급휴가) 내에서 쉬는 것을 보장해요.하지만, 연차를 다 쓰고 추가로 쉬면 그날은 ‘결근’이 되고, 그만큼 월급에서 빠지게 돼요.이렇게 결근한 날만큼 급여에서 공제되는 것을 ‘결근공제’라고 해요.
 

🍯상식꿀팁: 연차를 다 사용했다면, 무단결근보다는 사전에 상사와 협의하여 휴가를 신청하는 것이 좋아요.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급여 공제를 피할 수 있어요.



 

 

<문제13> 세전소득을 기준으로 한 달의 소비 생활과 재테크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O,X)


✅ 정답:  X (실지급액을 기준으로 해야함)

 

🔍 해설: 세전소득은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을 공제하기 전의 총소득을 의미해요.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손에 쥐는 돈은 이러한 공제 후의 실지급액(세후소득)이죠. 따라서 한 달의 소비 생활과 재테크 계획을 세울 때는 실지급액을 기준으로 해야 현실적인 예산 관리가 가능해요.



<문제14> 다음 중 4대 보험에 속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국민연금
② 건강보험
③ 퇴직연금
④ 고용보험

 

✅ 정답: 3번

 

🔍 해설: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의미해요.이 중 퇴직연금은 회사에서 근로자의 퇴직금을 운용하는 제도로, 국민연금과 달리 국가가 운영하는 사회보험이 아니에요!

 

 

<문제15> 건강보험료는 월급에서 2%가 나간다.(O,X)
 

✅ 정답: X (3.545%)
 

🔍 해설: 건강보험료는 월급의 일정 비율로 책정돼요. 2025년 기준, 건강보험료율은 7.09%입니다. 이 금액은 회사와 직원이 절반씩 부담하므로, 직원은 월급의 3.545%를 건강보험료로 납부하게 되는거죠.

 

 

<문제16> 다음 중 비과세 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자가운전보조금
② 연말상여금 
③ 실비급여
④ 자녀보육수당
 
✅ 정답: 2번
 

🔍 해설: 비과세 소득이 뭘까? 👉 세금이 안 붙는 돈!
회사에서 받는 돈 중 일부는 세금을 떼지 않고 받을 수 있어요.
 

✔ 자가운전보조금 → 회사 업무로 차를 사용할 때, 월 20만 원까지 세금 없음!
✔ 실비급여 → 일하면서 쓴 돈을 돌려받을 때, 실제 쓴 금액만큼 세금 없음!
✔ 자녀보육수당 → 6세 이하 자녀를 키울 때, 월 20만 원까지 세금 없음!

❌ 연말상여금은? 👉 월급처럼 받는 돈이라 세금을 내야 해요.



 

<문제17> 세금 매기는 ‘대상 금액’을 줄여 주는 것을 세액공제라고 부른다.(O,X)

 

✅ 정답: X (소득 공제)

🔍 해설: 세금을 줄이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어요! 바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 소득공제: 세금을 매기는 기준이 되는 소득 금액을 줄여주는 거예요. 즉, 과세표준을 낮춰서 결과적으로 내야 할 세금이 줄어들죠.
  • 세액공제: 이미 계산된 세금 금액 자체를 직접 깎아주는 거예요. 즉, 산출된 세액에서 일정 금액을 빼주는 방식이죠.
     

따라서, 세금 매기는 ‘대상 금액’을 줄여주는 것은 소득공제이고, 세액공제는 산출된 세금에서 직접 금액을 공제하는 것을 의미해요.

 

 

<문제 18>회사가 대신 국가에 세금을 내주는 방식을 00징수라고 부른다. (주관식)
 

✅ 정답: 원천징수

 

🔍 해설: 원천징수란 회사가 직원에게 급여를 지급할 때, 직원이 내야 할 세금을 미리 떼어서 대신 국가에 납부하는 제도를 말해요. 이렇게 하면 직원들이 따로 세금을 납부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답니다.


 

 

<문제19> 월급을 받는 직장인은 별도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필요가 없다. (O,X)

 

✅ 정답: O
 

🔍 해설: 직장인은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해주기 때문에 따로 세금 신고를 하지 않아도 돼요! 즉, 월급만 받는 직장인이라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안 해도 됩니다. 

하지만! 만약 추가로 돈을 번다면?
👉 프리랜서로 알바를 했다면?
👉 은행 이자나 주식 배당을 많이 받았다면?
👉 강의나 원고료를 받았다면?
 

이런 경우엔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해요!
 


 

20. 직장인이 회사에서 받는 식대는 전액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O,X)

 

✅ 정답: X

 🔍 해설: 회사에서 받는 식대는 일부만 세금이 면제돼요.2025년 기준, 한 달에 20만 원까지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지만, 그 이상 받는 금액은 세금이 부과됩니다.따라서 식대 전액이 비과세는 아니에요.

 

 


 

 

 

 

이제 당신도 월급 관리 마스터!

 

오늘은 월급과 세금 퀴즈로 기본 개념을 확실히 익혀봤는데요!

앞으로도 이 지식을 활용해서 똑똑한 재테크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함께 알아가는 월급 상식, 여러분의 똑똑한 금융생활을 응원합니다🚀✨




 


 

🌟함께 보면 더 좋아요!

 

3개 이하로 틀리면 부동산 능력 상위 1%입니다
 

자취방, 원룸 구할 때 계약 체크리스트! 자취경력 10년차가 정리했습니다.(🎁PDF 기간한정 다운로드)

 

돈이 절대로 모이지 않는 집 특징.. 가구배치 제발 이렇게 하지 마세요

 

월부Editor는 직장인 여러분의 내집마련, 부동산 투자, 주식, 부업(제2의 월급)을 위해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칼럼을 쓰고 있어요. 오직 월부 커뮤니티에서만 볼 수 있는 고급 정보와 소식을 매주 놓치지 마세요!

 


댓글


user-avatar
허씨허씨user-level-chip
25. 02. 20. 04:55

오 퀴즈 20개 바로 풀어보겠습니다!!!

user-avatar
모도링user-level-chip
25. 02. 20. 06:30

97%중 한명이었네요...!!ㅎㅎㅎ

user-avatar
s블루user-level-chip
25. 02. 20. 07:52

미쳤넼ㅋㅋㅋㅋㅋㅋ 나왜아는게 단하나도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