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제점
- 매수를 위해 무엇을 어떤 순서로 진행해야할지 혼란스럽다.
- 어떤 기준으로 단지를 비교평가 해야할지 감을 잡기 어렵다.
- 저환수원리가 왜 중요한지와 적용 방법에 대해 알지 못한다.
배운 것 요약: 실전 투자자의 투자 프로세스
- 지역조사, 임장을 통해 앞마당(단지들)의 가치를 파악한다.
- 가치를 임장보고서로 기록한다.
- 가치가 있는 물건 중 투자원칙(저환수원리)과 기준을 적용해 비교평가한다.
- 저평가 - 가치 대비 싼가?
- 같은 가격이라면 더 좋은 입지의 물건은 없는가?
- 같은/유사한 입지라면 더 싼 물건은 없는가?
- (25/26 한정) 전고점 대비 15~20% 하락한 물건인가?
- 환금성 - 매도 시점에 잘 팔릴까? 사람들이 좋아할만한가?
- 아파트, 200세대 이상(서울/수도권, 상급지 100세대 이상), 저층/탑층 제외
- 예. 10년, 5년 뒤 구축+복도식이라면 좋아할까?, 나홀로 단지인가?
- 수익성 - 투자금 대비 수익이 충분한가?
- 보유한 투자금으로 더 좋은 투자처는 없을까?
- 투자금 대비 1~2배 수익이 가능한가?
- 원금보존 - 투자금을 절대 잃지 않을 수 있는가?
- 지금 전세가율이 적절한가?
- 리스크 - 리스크를 감당하면서 수익이 날때까지 잘 보유할 수 있는가?
- 잔금, 역전세 대비 가능한가?
- 입주물량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을까?
- 투자원칙과 기준에 맞는 물건이 있다면 매수한다.
- 매도도 투자원칙과 기준에 맞을 때만 실행한다.
One message
투자 대상의 가치를 파악하는 것은 잃지 않는 투자의 출발점이다.
적용점 및 실행방안
- 조급함을 더 경계하자. 기회는 어디에나 언제나 있다. 투자는 늦고 빠름보다 올바른 선택이 더 중요하다.
- 가족, 일, 건강을 중심에 두고 투자가 삶의 균형을 깨지 않도록 경계를 정하자
- 일주일에 하루 정도 몰입, 그 외 시간될 때 조금씩
- 평일에는 1시간을 넘지 않게
- 시작이 반이다. 일단 임장 보고서로 기록을 남기면서 단지 1개씩 이라도 저환수원리를 적용하는 훈련을 해보자.
인상 깊었던 부분
- 저환수원리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 간접 경험해본 것
- 처음에는 시야가 좁을 수 밖에 없지만, 강의를 통해 배운 투자원칙과 기준을 착실히 적용해서 하나씩 투자를 실행한 점, 이후 복기를 통해 또 배워나가는 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