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월부에서 여러분의 내집마련과 행복한 노후를
돕고 있는 오렌지하늘입니다.
처음 재테크를 시작하는 분들이
가장 자주 묻는 말,
천만 원이 통장에 있을 때,
“이 돈으로 뭘 할 수 있지?”라는 생각부터 들죠.
오늘은 이 질문에 명확한 답을 드립니다.
종잣돈의 크기별로,
재테크는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갑자기 왜 노후 이야기야?”
이렇게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저는 지금
재테크의 ‘방향’을 먼저 짚고 싶습니다.
돈을 모으는 기술보다 더 중요한 건,
그 돈이 향해야 할 목표를 아는 것이니까요.
우리는 언젠가 일을 멈추고,
소득 없이 살아가야 할 시간을 맞이하게 됩니다.
그때 필요한 건 ‘풍요로운 삶’ 이전에
그저 살아갈 수 있는 돈입니다.
계산해볼까요?
👉 60세~90세까지, 월 300만 원 쓴다면?
→ 300만 × 12개월 × 30년 = 약 10억 원
이 10억은
호화로운 삶을 위한 금액이 아닙니다.
단순히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자금이에요.
하지만 현실은 어떨까요?
지금 내 통장을 들여다보면…
한숨부터 나오지 않으세요?
우리가 지금부터라도
방향을 잡고, 실천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 돈으로 어떻게 불리지?’ 하면서
주식, 코인, 부동산부터 덥석 시작하곤 하죠.
하지만
그전에 꼭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모으는 구조’ 만들기입니다.
밑 빠진 독에 물 붓는다고 채워지지 않잖아요.
✨왜 모으는 구조가 중요한가요?
재테크 전문가들의 말
늘 비슷하게 느껴지지 않으세요?
“통장 쪼개세요.”
“자동이체 설정하세요.”
뻔하게 들릴 수 있지만,
이 말이 반복되는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
돈이 모이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시스템 없이 감으로 돈을 쓰기 때문입니다.
수입이 있어도, 어디로, 얼마나
새고 있는지 모르면
투자도, 저축도 불가능합니다.
✨ 돈이 ‘모이는 구조'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1️⃣ 내 월급이 ‘목적지’를 갖도록 만들기
→ 생활비, 고정비, 예비비, 저축…
다 같은 통장에 넣고 쓰면
내가 어디에 얼마 쓰는지도 모르게 사라져요.
👉 자동 저축 구조 만드는 법 보기
2️⃣ 대표적인 지출부터 점검하기
→ 보험, 자동차, 통신비, 청약 납입…
'개미구멍이 둑 무너뜨린다' 는 속담이 있죠.
작은 지출부터 점검해야 합니다.
✨ 돈을 ‘모으는 전략’ 이렇게 짜보세요.
저축은 무작정 하면 안 됩니다.
전략 없이 시작하면 지치기 쉽고
실패 확률도 높습니다.
예를 들어, 월급이 350만원 인 경우
첫 달에는 비상금만 모으고
두 번째 달부터 저축률을 늘려보세요.
(예: 20% → 30% → 40% 상황에 따라 유동적 조정)
사람마다 고정비와 생활비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내 상황에 맞게 저축률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어떤 변화가 생길까?
✨ 나는 지금 어떤 상태일까?
생활비를 신용카드로 결제하고, 남는 돈으로 적금?
이 구조론… 죽어라 벌어도 ‘텅장’ 탈출이 어렵습니다.
지금 바꾸지 않으면, 1년 뒤에도 똑같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돈이 모이는 구조를 만들었다면,
이제는 그 돈을 ‘불리는 방법’을
배워야 할 시점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죠
“종잣돈 생겼으니… 이제 주식 한번 해볼까?”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단계를 건너뛰는
실수를 하곤 합니다.
눈이 아프다고 아무 병원이나 가시나요?
대부분은 안과 전문의를 찾고,
후기와 정보를 찾아본 후에야 병원을 선택합니다.
투자도 똑같습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먼저 ‘탐색’하고 ‘공부’해야
진짜 내게 맞는 전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주식이 궁금하다면?
✨ 부동산이 궁금하다면?
돈이 어느 정도 모였다면, 이제는
실제 자산을 ‘불리는 행동’ 을 해야 할 타이밍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한 번에 모든 걸 하려 하지 마세요.
1)자본금이 적기 때문입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한쪽에 넣으면
다른 쪽은 시도하기 어렵습니다.
2)시간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가지를 제대로 배우고 실천하기도 바쁜데
두 가지를 동시에 하다 보면 모두 어중간해질 수 있습니다.
주식과 부동산 어느 쪽이든 실전 투자를 할 수 있는
최소 자본이 갖춰지는 시점입니다.
정리하자면,
1)돈이 모이는 구조 만들기
2)투자 준비 시작하기
3)투자 실행하기
이게 우리가 가야 할 순서입니다.
제가 적었던 칼럼들을 참고하셔서
오늘부터 당장 실행해보세요.
여러분의 통장과 자산 흐름이
1년 뒤, 5년 뒤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10억으로 가는
첫걸음이 될 거에요.
그런데 만약,
“내 월급에 맞게 모으는 구조를 어떻게 짜야 하지?”
“소비를 줄여야 하는 건 아는데, 뭐부터 줄이지?”
“투자를 배우라고 하는데, 어떻게 시작해야 하지?”
이런 고민으로 든다면
이 강의가 여러분께 도움이 될 수 있을거에요.
지금 여러분이
당장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알려드립니다.
여러분들의 재테크 세포를 깨워보세요! : )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