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공동명의 소유인 집 잔금날 매도인 중 한 사람만 나오는데 위임장 거부

25.08.24

안녕하세요? 

 

Q&A로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1호기 잔금을 곧 앞두고 있는데 공동명의 2인 중 근저당 있는 사람 대신 다른 한 사람만 잔금치러 나온다고 해서

위임장(잔금 수령 및 소유권 이전 등기)을 요구했더니 등기 이전에 위임장이 필요 없다(계약시 공동명의자 두 명이 참석했고 등기권리증 포함 서류 일체를 지참하면 매도자 중 한 명이 참석 못해도 위임장 필요 없다)라고 하는데 제가 의뢰한 법무사에게 문의중이긴 한데 이런 경우 위임장이 정말 필요 없나요?

 

거기다가 위임장 내용(부동산에서 작성하긴 했지만)을 읽어보니 잔금 입금 통장을 대리인 명의 통장으로 해 놓았더라구요. 부동산도 객관적으로 일 파악을 못하는 것 같아요.

 

위임장 발급이 그렇게 힘든 과정도 아닌데 왜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근저당 말소하려면 어차피 대출 계좌로 본인들도 입금 처리할텐데 굳이 대리인 계좌 고집하는지(계약 당시에도 대리인 명의 계좌로 입금, 계약서에 동의한다는 특약 있어서) 좀 이해가 안 갑니다. 주전이라 최대한 맞춰주고 편의를 봐 주려고 했는데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고 부동산도 매도인 편에서서 편파적인 것 같아 저도 감정이 상해서 위임장 제출과 대출 계좌 입금 방식으로 잔금하겠다는 생각을 전달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매수인이 계약 당시와 주소가 바뀌면 과거 주소 변동 이력 적힌 초본을 준비하라는데 이것도 맞는 건가요? 예전엔 필요 서류라고 하면 그냥 제출하려고 했는데 매도인 쪽에서 비협조적이고 자기들만 생각하니 과연 이 제출 서류로 뭘 하려는 건지 의심이 들고 저도 협조하고 싶은 생각이 없네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지니플래닛creator badge
25. 08. 24. 09:40

안녕하세요 아처님~ 1호기 계약 과정에서 과정상 여러 어려움이 있으시군요. ㅠㅠ 일단, 공동명의 주택의 잔금을 치르는 과정에서 매도인 중 한 명만 참석하는 경우, 분쟁 예방과 절차의 명확성을 위해서는 위임장을 받아 두는 것이 일반적이고 안전합니다. 계약서에는 싸인했지만 잔금 수령 및 이전 등기에 대한 동의의사까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꼭 받아두시는 게 맞는 것 같아요. 하지만 예외적으로 제출한 서류가 충분하다고 했을 때 위임장 없이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이건 법무사님이 판단하실 문제라고 합니다. 이부분을 부사님이 이야기해주시면 좋은데.. 아쉽네요 ㅠㅠ 그리고 근저당은 잔금으로 근저당을 말소한다는 특약을 넣으신거죠? 다른 명의자분께 전화로 이 계좌로 이체하는 게 맞는지 확인해보시면 어떨까요. 잔금 당일 말소확인증이 나오므로 꼭 챙기시고, 그 전에 말소처리를 누가 할 것인지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저희쪽(매수자) 법무사님이 처리하셨었는데 일반적으로도 매수자쪽 법무사가 많이 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매수인의 주소가 계약 시와 달라진 경우 등기소에서는 동일인 확인을 위해 주소 변동 이력이 포함된 주민등록 초본 제출을 요구해요. 등기 절차상 필요한 서류이므로 기분 좋게 제출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일반적이지 않은 매도인의 요구로 피로감이 있으실 것 같아요 ㅠㅠ 그래도 자산을 만드는 과정이다!! 심호흡 한 번 하시고 CEO마인드로 이겨내보아요. 아처님 화이팅입니다!!!

아처
25. 08. 24. 10:41

지니 플래닛님!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알려 주신 내용 중 '매매특약에 잔금일날 근저당 말소한다는 내용'이고 잔금으로 근저당 말소한다는 내용은 아닙니다. '매매대금은 공동명의자중 ~~의 동의하에 대표자로 선임된 아래 계좌로 입금하기로 한다' 매매대금에 잔금까지 포함한 의미일까요? 그렇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대출상환계좌로 잔금 입금한다고 알고 있고 0호기 매수할 때도 대출상환계좌로 넣었거든요. -말씀해 주신 내용 중에 제가 순차적으로 확인하고 해야 할 부분은 -법무사에게 위임장 필요 여부 확인(법무사는 불안하면 위임장 요구해라는 식), -계약서에 기재된 동의 계좌로 위임장만 있으면 입금해도 되는지 -위임장 없다면 잔금 당일 위임인과 통화해서 잔금 수령과 등기 이전 동의 여부 확인 -잔금 당일 말소처리 이 과정이겠네요. 저도 더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