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와 안정된 노후를 위해서는 개인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투자·자산 계획이 필요합니다.
학업, 결혼, 출산, 주택 마련, 퇴직 등 중요한 인생 이벤트와 경제적 흑자·적자 구간을 함께 살펴보며,
시기별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학력·학벌·직업에 따른 소득격차가 크게 나타납니다.
이 시기에는 공부를 통한 능력 축적이 중요하며, 학업 성과로 비교우위를 얻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만 공부에 집중하지 않는다면, 가능한 한 빨리 경제활동을 시작해 실무 경험과 자산 축적을 노려야 합니다.
남성은 약 28세, 여성은 26세부터 본격적 경제활동을 시작한다고 가정합니다.
이 시점부터 소득이 늘고, 본격적인 흑자 인생이 열립니다.
평균 초혼 연령: 남성 34세, 여성 32세
평균 초산 연령: 남성 36세, 여성 34세
첫 아이의 초등학교 입학 시점은 남성 42세, 여성 40세 전후로 예상됩니다.
이 시기는 인생 소득 정점기(45세 전후)로, 경제적 역량이 가장 강한 시기입니다.
서울 기준 전용 59㎡ 아파트(9~15억)를 종자주택으로 본다면:
35세 이전: 첫 주택 마련
45세 이전: 최소 1회 갈아타기(최종 주택 확보)
만약 전용 59㎡ 아파트를 최종 주택으로 삼는다면 45세 이전까지는 반드시 마련해야 합니다.
45세는 개인 능력과 경제적 소득의 정점기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50~55세 전후에 비자발적으로 1차 직장에서 퇴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40대 중반까지는 주택과 기본 자산 구조를 완성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55세: 개인연금, 퇴직연금 수령 시작 가능
65세: 국민연금 수령 시작 가능
55세 전까지는 **적립식 투자(ISA, 연금계좌 연간 3,800만 한도)**를 최대한 채워놓고,
55~65세에는 2차 직장을 통해 생활비 충당 → 기존 자산은 거치식 투자 유지
65세부터는 본격적으로 인출 전략을 실행합니다.
원금의 연 4~5% 인출로 자산 가치를 반영구적으로 유지 가능.
이후에는 증여·상속 플랜으로 전환하여 자산 승계까지 준비합니다.
원본글 : https://blog.naver.com/kyungjai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