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안녕하세요?
나 자신을 지키는 투자자 찡아찡입니다 : )
비슷한 가격이라면 더 가치 있는 것,
가치가 비슷하다면 가격이 더 저렴하고 나의 투자금과 상황에 맞는 것,
비교 평가의 모든 것 뿐만 아니라
투자자로서의 자세와 시간 관리까지 모든 걸 알려주신
잔쟈니 튜터님의 열중 3주차 강의였습니다.
느낀점과 적용할 점 위주로 후기를 작성해 봅니다!
지역 내 핵심 가치 찾기
지역 내에서만 비교 평가를 잘 해도 좋은 물건을 선별 할 수 있었어요
해당 지역에서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
임장을 제대로 해서 선호도를 파악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이기도 했습니다.
서울 수도권과 지방은 우선 순위로 봐야 할 입지 가치 자체가 달랐는데요,
핵심 가치를 우선 순위로 두고 핵심 가치를 더 충실하게 만족하는 곳을
골라야 한다는 말씀에 아하! 했습니다.
역에서는 A단지가 더 가깝지만 연식은 B단지가 더 좋고,
A단지는 주변에 균질하지만 B단지는 그래도 좋은 학교를 갈 수 있고,
이런 것들이 뒤섞여서 어느 단지가 가진 장점이 더 많은지
단순하게 수치화 했던 것 같아서 부끄러운 생각이 들었어요
다시 한 번 시세 지도를 통해서 해당 지역의 핵심 가치를 제대로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역 간 비교 평가 (가르마 타기)
매물을 본 후 단지들을 나열해 보면 각각의 특징이 다 달라서
더욱 혼란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격, 평형, 연식, 타입, 생활권 등 모든 게 뒤죽박죽이다 보니
‘그래 뭐가 더 싼 거고, 어떤 단지가 더 가치 있는 것이지?’
정신이 안드로메다로 가기 일쑤인데요ㅎㅎ
공통점을 찾아서 묶는 것이 중요하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통적으로 강남 접근성이 편리하다면 직선 거리 자체는 간과하는 경우가 많았었어요
그래서 한 번에 갈 수 있는 주요 노선이 있다면
무조건 그 지역이 더 좋다! 라고 생각했었는데,
중심부까지 얼마나 가까운지를 보는 물리적인 위치 또한 반드시 같이 봐야겠다 싶었습니다.
지난 상승장 때 ‘전고점’이라는 지표가 있다 보니
누군가는 이 단지를 그 가격에 받아줬다는 거 아니야? 라면서
답지처럼 맹신하기 쉬운데요, 튜터님께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전고점을 활용하는지
알려주셔서 정말 많이 배울 수 있었답니다.
물건 별 비교 평가
사실 규제로 인해 가격 보다는 조건이 더 중요한 시장이다 보니
한 단지에서 매물을 보고 뭐가 더 좋은 건지 알려주시는 부분에서
꼭 현장에 적용해봐야지! 싶을 정도로 좋았어요
얘는 동이 좋고, 얘는 수리가 잘 되어 있고, 얘는 임대용 수리고, 가격은 각각 다르고……
저도 생각보다 투자금이 많이 들었던 적이 있었기에
그게 어떤 상황이 되었든 비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지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에 조건 맞는 물건을 만나기 위해서는 현장을 그만큼 많이 가야 한다는 말씀이 남더라고요
또한 이렇게까지 수리를 해야 할까? 라는 기준점도
어느 정도 해소해 주신 것 같아 굳이 돈을 들이지 않아도 전세가 나갈 수 있다면
시장 상황을 면밀하게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겠구나 싶었습니다!
"다주택자는 집이 많아서가 아니라 꾸준히 괜찮은 투자를 반복할 수 있는
실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주택이 아니라 실력이 나를 부자로 만들어 주는 거예요"
챗수만 늘리면 순자산이 늘어나는 줄만 알았던 지난 날의 나,
그 또한 제대로 원칙과 기준 없이 투자했다면
지켜내지 못 할 것이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변화하는 시장에서 부는 바람을 역행하지 않고 잘 대응하며
조급하지 않게 앞으로 나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시간 반짝 반짝 빛나는 가치 있는 강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잔쟈니 튜터님♡
BM
- 가장 중요한 일에 충분한 시간을 써야 성과가 나오고, 그래야 투자 생활을 지속할 수 있다.
- 월세 낀 물건도 무조건 거르지 말고 다 보기
- 몇 천 만원 덜 버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매수하는 사람의 고민거리가 적은 단지를 선택할 줄 아는 것
- 잊지 말자! 데드라인과 환경의 중요성!
댓글
찡아찡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