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실전투자경험

세법상 취득시기, 모르면 세금 수천만 원 날립니다 [우도롱]

25.10.03

 

 

 

 

안녕하세요, 우도롱입니다.

 

 

월부에서 투자나 내집마련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보다 더 좋은 가격

혹은 더 좋은 조건을 위해

여러 협상을 시도하시죠.

 

 

그런데 이것을 모르고

중도금 지급했다가

 

취득세/양도세/보유세 등

예상치 못한 세금 폭탄을

맞으실 수 있습니다.

 

 

 

❓누가 꼭 알아야 하나?

 

✔️지금 투자하는 분들

✔️지금 투자하지 않는 분들

모두 주의해야 할 내용입니다.

 

 

그림2.png

 

 

 

🏠 부동산 3대 세금

매수 시: 취득세

매도 시: 양도세

보유 시: 재산세·종부세

 

 

부동산 관련 세금은

수백만 원에서 많게는 수억 원까지

차이가 날 수 있기에

 

매수·매도 결정을 하기 전에

정확히 계산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

.

.

 

 

📌세법상 취득시기란?

 

 

많은 분들이 "등기 접수일"

기준으로 세금을 생각하시는데,

사실 세법상 기준은 다릅니다.

 

 

 

💫세법상 취득시기💫

= 사실상의 잔금 지급일

 

 

즉, 소유권 이전 등기를

접수하지 않아도

 

매매대금의 거의 전부가

지급되면 (사실상 잔금 지급)

 

그 날을 취득일/양도일로

본다는 겁니다.

 

 

.

.

.

 

 

✔️사례로 보는

세법상 취득시기

 

 

투자처를 찾던 A씨

저렴한 가격의

전세 승계 물건을 찾았습니다.

 

 

그런데 돈이 급했던 매도자는

이번달에 중도금 1.9억 지급,

내년에 잔금 천만원 + 소유권이전을

제안했습니다.

 

image.png

 

 

이 경우

'세법상 취득시기'

 

잔금 지급/소유권 이전하는

26년 3월이 아니라

 

25년 10월이 될 수 있습니다.

 

 

 

잔금이 100% 넘어가지 않아도

소유권 이전 접수가 되지 않아도

 

매매대금 8억 중

7.9억이 지급되었기 때문에

세법상 취득시기를

25년 10월로 볼 수 있습니다.

 

 

.

.

.

 

 

'거의 전부'의 기준은?

 

 

이는 법령에 명시되지 않아

여러 판례들을 참고하고 있는데요.

 

 

세무사님 상담 결과

잔금은 최소 5%이상

남기는 것을 권장하셨습니다.

 

(잔금이 3.75%가 남아 있어도

'사실상 잔금 지급'으로 본 판례 있음)

 

 

 

따라서

 

매매 계약금 + 중도금

+ 승계 보증금 의 합이

 

매매금액의 95%을 넘지 않도록

금액을 설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

.

 

 

🚨주의해야 할 경우

 

 

그러면 어떤 분들이

'세법상 취득시기'를

주의해야 할까요?

 

 

1) 다주택자

기존주택 매도 후

낮은 세율로 매수하려는 경우

 

➡️ 매도 잔금 받기 전에

매수금액 95%이상 지급하지 말 것

 

 

 

2) 2년 보유 요건

비과세 혹은 일반세율로

2년 채우고 매도하려는 경우

 

➡️ 2년 보유시점 이전에

매도금액 95%이상 받지 말 것

 

 

.

.

.

 

 

오늘은 매수/매도 거래시

주의해야 할

 

세법상 취득시기

세법상 양도시기

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

 

✨정리✨

 

☑️ 세법상 취득·양도시기는

등기일이 아니라 '거의 전부 지급일'

 

☑️ 매매대금의 95% 이상 지급하면,

등기 이전에도 세금 기준일이 될 수 있음

 

☑️안전하게 거래하려면

잔금을 최소 5% 이상 남겨두기

 

---------------------------------------------

 

 

꼭 기억하시어 불필요한

세금 리스크를 피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투자에 도움이 되실 다른 글◀

제목 클릭시 이동합니다.

 

[협상]

안된다던 그 집은 왜? 3천만원 깎였을까?

 

[매매]

매매계약 전, 지나치면 안되는 두가지 (누수를 겪으며)

 

[전세]

전세빼기의 공식, 이 한가지만 기억하세요

 

[지방투자]

지방 부동산 투자로 돈 벌려면 "하지 말아야 할" 두가지

 

3년 전세계약, 괜찮을까요? 현실은 이렇습니다.

 

[서울투자]

서울 수도권 투자, 어떤 걸 선택할지 모르겠다면 (투자금 2~3억대 복기)

 

1년만에 찾아온 부동산 대출규제, 현장에서 이런 기회를 잡아보세요.

 

입지 VS 신축, 선택하지 마세요.

 

수도권 공급지도 구글맵 (25~28년) + 전출입 지역

 

[대출]

대출 써서 투자하시나요? 꼭 확인해야 하는 3가지

 

[시세]

선명한 앞마당, 1등뽑기까지 연결되는 시세그룹핑

 

아파트 가치부터 저평가까지 찾아내는 핵심장표 한장

 

시세 스캐닝, 무조건 루틴으로 만드는 방법

 

[임장]

부동산에 가서 무슨 얘기를 하죠? 매물임장 대화법

 

효과적인 아파트 임장을 위해, 반드시 준비하는 1가지

 

[기타]

보험회사 직원이 연금저축 해지하는 이유 (연금저축, IRP)


댓글


꿀하우스
25. 10. 03. 16:43

몰랐던 사실이네요 소중한 경험담 감사합니다 ^^

나믿따
25. 10. 03. 16:44

잔금 5프로 미만 주의!! 꼭 확인해야겠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혀니혀닝
25. 10. 03. 16:44

잔금5%이상 남겨두기!! 경험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