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실전투자경험

천지개벽 중인 수도권에서 수혜를 입는 단지들의 특징 ( feat. 실제 단지 사례 ) [ 리스보아 ]

25.10.31

안녕하세요, 

함께 나아가는 투자자 리스보아입니다.

 

오늘은 주변 환경이

 재개발로 인해서

천지개벽이 되면서 기회가 되는 단지들의

특징을 같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재개발 하면 다 좋아지는 거 아닌가요?

 

재개발의 경우 보통 단지 하나를

 재건축 하는 것보다 훨씬 더 넓은 범위를 지정하고,

기존의 낡은 주택가에서

대단지의 신축 아파트들이 들어서게 되면서

완전히 새로운 ‘천지 개벽’의 모습을 갖추게 되는데요,

 

그래서 보통은 이렇게 재개발 되면

그 지역이 전체적으로,

혹은 적어도 그 근처의 단지들은 다 좋게 되는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재개발로 어나더 레벨이 된 단지들 

 

하지만 실제 단지 예시로 살펴보면,

조금 이야기가 달라지는데요,

 

실제로 재개발로 완전히 다른 세상이 된

마포구를 살펴보면

기존의 염리상록 주변에 주택가가 가득했던 곳

아래와 같은 신축 단지들로 둘러 쌓이게 되면서

사람들이 살고 싶어 하는 동네가 되었고

염리상록 역시 문 앞을 나서면

주택 골목가가 아닌 

신축과 상권이 들어선 곳으로 환골탈태하게 됩니다

 

 

실제로 이런 변화가 

지난 상승장에서는 원래 

가격대를 더 높게 형성하고 있었던

서대문구의 ‘뜨란채’보다도 

더 높은 힘을 보여주면서

천지개벽된 곳의 수혜지

대표주자가 되기도했었습니다

 

 

 

 

 

서반포, 동작구 흑석동의 동양

 

마포구에 이어

천지개벽의 대표주자인

동작구 흑석동 역시

원래는 경사도 있고,

빨간 벽돌 주택이 가득한 곳이었는데요

 

 

 

 

 

자이, 센트레빌 등의

아파트들이 계속 들어서면서

주택가 사이 떨어져 있던 ‘구축’ 아파트였던

동작구 사당동의 ‘삼호그린’ 보다

폭발적 상승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주변은 환골 탈태했지만,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단지들

 

하지만  이 공식이 모두에게 적용되는 건 

아니었는데요,

 

서울에 가깝고, 구로 & 가산의 

직주근접 수요를 갖고 올 수 있는 

광명의 사례를 보면

광명 사거리 아랫쪽에

‘신축들이 계속 이어져서 들어오고 있음’에도

바로 앞의 중앙하이츠의 가격흐름이

비슷하게 가던 단지와

크게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 수원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변화라고 불리는 ‘팔달구 매교’역시

주변 신축 단지들 틈에 껴 있는

‘성원 아파트’역시

주변의 단지와 상권이 바뀌었음에도

 

기존의 영통구의 매탄동 주공 그린빌의

힘을 역전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변화의 정도와 땅의 힘

 

결국 이렇게 다른 결과가 나오는 데는

크게 2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는데요,

 

단순히 인근 단지들 

몇군데만 바뀌는 정도가 아니라

바로 앞에 나갔을 때 

주변이 온통 다 바뀌는 정도의 규모인가

(ex.염리상록)

 

그리고 수도권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

즉 땅의 힘이 원래부터 좋았지만

환경이 나빠서 거주하지 못했던 곳들이

환경이 개선되면서

외부에서 거주했던 수요까지

가져올 수 있을 정도인가

보는 것입니다 

 


 

수도권 안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통해서

기회를 잡고 싶으시다면

이전 사례들처럼 

기회가 될 수 있는 단지들의 특징을 알고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좋은 기회가 되었을 때

잡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장으뜸
25.10.31 18:18

천지개벽한다고 모두가 수혜단지는 아니네요! 땅의 힘과 변화의 정도!! 감사합니다 리부님♡

김다올
25.10.31 18:22

외부 수요까지 끌어 들일수 있는가 좋은글 감사합니다~^^

꼬미아버지
25.10.31 23:46

외부환경을 다 바꿀수있을정도로 천지개벽인가 기존 입지의 힘이 강했지만 환경이 너무 안좋았던 곳이 좋아지면서 외부수요를 끌어들이냐! 좋은글감사합니다 튜터님~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