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초보자 BEST]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너바나, 자음과모음, 주우이

안녕하세요 도리밍입니다😊

지난주 10.15이후 규제 시장에서
투자 우선순위와 5분위 시세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양식을 공유 드렸는데요
못 챙기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10.15 규제 이후, 매물 단위로 우선순위 정리하는 법(+양식 공유) [도리밍]](https://cdn.weolbu.com/data_file/ee3f0557-14c0-46bc-87c5-c29dad7cbd0e.png)
💡왜 비교평가를 해야 하는가?
우리는 한정된 자원으로 최대 효율을 내야 하는
월급쟁이 투자자죠
연 15~20% 수익률을 목표로
임보·임장을 통해
지역의 가치와 선호를 알고
내가 가진 투자금으로 최선의 투자를 위해서
고군분투 하고 있을 거에요
그렇게 투자까지 이어졌을 때
그동안에 힘들었던 몸과 마음이
눈 녹듯 사르르 사라지는 경험, 있으시죠?
내 투자금으로 최선의 단지를 뽑아내기 위해서
가치와 가격을 비교하면서
치열하게 비교평가 했을 겁니다
하지만 왠지 내가하는 비교평가의 결론은 항상
입지, 선호도, 가격, 투자금을 넣고
이래 이래해서 A단지보다 B단지가 더 낫겠다 끝!
이렇게 마무리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우리가 한달의 임장지 지역 내에서
비교평가를 하면서 지역 내 단지 선호도와
우선순위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투자까지 이어질 수 있는 비교평가가 중요합니다
1️⃣ 지역 내 비교평가
가장 먼저 임장 중인 지역에서
비슷한 가격대의 단지 3개를 고정해 비교합니다
* 지방의 경우 7억대, 6억대, 5억대, 4억중후반, 4억초중반 등
가격대별 세분화
평형이 너무 다양하면 평형, 가격 고정
생활권 내 선호도, 입지(위치, 환경), 학군, 가격, 전고(참고지표)
각 단지별 선호도와 투자 우선순위를 매기고
하단에는 근거 + 나의 생각을 기록합니다
📌 지방의 초신축은 시세 그래프가 왜곡된 경우가 많으니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세요

2️⃣ 지역 간 비교평가
지역 내 비교평가가 끝나면
바로 지역 간 비교평가를 진행합니다
서울·수도권과 지방은 우선하는 가치가 달라
양식도 조금 다른데요

서울 수도권은 땅의 가치가 더 높고
교통(업무지구 접근성)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입지 위주로
지방은 땅의 가치가 덜 하고 연식이 중요한 만큼
지역의 위상, 생활권, 공급 시장 상황을 정리합니다

🔥 이 양식을 활용한다면 어떤 결과를?🔥
단지에 가치를 정리하면서
계속해서 변화하는 가격보다
변하지 않는 가치를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내가 이 장표를 작성하기 어렵다면
스스로 단지의 가치를 잘 보고 있는지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가장 중요한 지역 내, 지역간 비교평가를 통해
가치대비 가격과 투자금을 비교해면서
가치 대비 가격이 적정한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같은 돈으로 더 좋은 단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결국 임보를 쓰는 것은
단순히 장표 하나 채우는 게 아니라
우리가 투자라는 목표를 위해
매달 성장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앞마당 시세를 보는 눈,
단지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
이 모든 게 한 번에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
매달 치열게 비교하고 고민한 끝에
꾸준히 복리로 쌓여가는 것이더라구요
이 장표가 여러분의 여정에서
또 하나의 성장 포인트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지역내_지역간_비교평가양식_도리밍.pptx
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너바나, 자음과모음, 주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