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빛나는 금요일을 만들고 싶은
윤이나입니다:)
11월의 3주차, 성큼 다가온 겨울입니다:)
건강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이번주 역시 전국적으로
매매, 전세가가 모두 오른 모습입니다.
다만, 서울의 경우
5주 연속 상승세가 둔화되었으며
광역시의 경우
전세가가 계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자세한 부동산 분위기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1월 3주차 주택시장동향 조사결과입니다.
2025년의 45번째 KB시계열 자료입니다.
#KB시계열 #주간주택시장동향 #KB부동산 #KB통계
11월의 랜드마크 아파트 시세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https://weolbu.com/s/GmRzuqeIwQ
전국 랜드마크(대장) 아파트 순위 및 시세 (25.11_윤이나)
서울의 매매가 상승률은 0.23%
경기도는 0.09%로
서울은 상승폭이 커졌다가
5주 연속 감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수도권 - 경기는
0.09%로 소폭 상승했으며
인천 매매가 증감률은 0.01%으로
역시 소폭상승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5개 광역시에서는
울산 0.07%
부산 0.03%
대전 0.0%
대구 -0.01%
광주 -0.01%
울산의 상승흐름에 이어
부산 역시 상승흐름으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대구는 3주연속
하락세입니다.
전국 평균 매매 증감율은 0.07%로
12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은 0.08%로
36주 연속 상승 흐름입니다.
서울의 전세가 증감률은 0.14%
경기는 0.10%
인천은 0.03%으로
모두 상승세입니다.
5개 광역시에서는
부산 0.11%
울산 0.10%
광주 0.04%
대전 0.04%
대구 0.04%
모든 광역시의 전세가가
상승흐름을 타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전세증감은 0.08%로
36주째 상승률이 유지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KB부동산 주간 KB주택가격동향
(25.11.17)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번주 전국의
매매 상승지역은
성남 분당구 0.86
수원 장안구 0.26
송파구 0.56
용산구 0.54
서울 중구 0.53
서초구 0.44
성동구 0.35
강남구 0.34
동작구 0.29
영등포구 0.26
매매 하락지역은
대전 대덕구 -0.16
부산 서구 -0.10
부산 강서구 -0.09
광주 남구 -0.07
포항 남구 -0.07
경산 -0.11
안성 -0.11
원주 -0.09
군산 -0.08
양산 -0.07
입니다
성남 분당구는 3주 연속 상승폭이 커지고 있으며,
이번주 0.86으로 전국 매매가 중 가장 큰 상승률을 보입니다.
지방의 경우 대전 대덕구, 부산 강서구, 부산 서구의 매매가 하락이
눈에 띕니다.

이번주 전국의
전세 상승지역은
하남 0.62
광주(경기) 0.50
안양 동안구 0.30
용인 기흥구 0.29
성남 수정구 0.27
부산 동래구 0.62
세종 0.42
송파구 0.41
광진구 0.39
용산구 0.31
전세 하락지역은
부천 소사구 -0.13
시흥 -0.04
군산 -0.09
익산 -0.08
원주 -0.07
청주 서원구 -0.05
안성 -0.04
아산 -0.01
대구 북구 -0.01
입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변동률은 0.08%으로
36주 연속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은 0.11%,
서울의 경우는 0.14%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하남시, 송파구의
전세가 상승이 돋보입니다.
지방의 경우 지역마다 분위기가
다른데요.
이번주 돋보이는 지역은
부산 동래구, 세종시등의
전세가 상승률이 도드라집니다.

매매 상승지역은
송파구 0.56%
용산구 0.54%
중구 0.53%
서초구 0.44%
성동구 0.35%
금천구 0.02%
도봉구 0.01%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42주 연속 상승하고 있지만
오름폭은 5주째 둔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주 보합했던
금천구(0.0% → 0.02%)와 도봉구(0.0% → 0.01%) 역시 소폭반등하면서
서울에 더이상 보합/하락하는 지역은 없습니다.
상승률 상위인 용산구의 경우
서빙고동, 문배동 단지들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으며
중구의 경우
순화동, 신당동 중심 단지들 위주로 가격이 오름세를 보입니다.

전세 상승지역
송파구 0.41%
광진구 0.39%
용산구 0.31%
노원구 0.24%
영등포구 0.22%
서울아파트 전세가격은 40주 연속 상승하고 있는데요.
지역별로 송파구(0.41%), 광진구(0.39%),
용산구(0.31%), 노원구(0.24%), 영등포구(0.22%) 등이 눈에 띕니다.
특히, 학군 수요가 있는 광진구의 경우
광장동을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오르고 있으며
군자, 중곡등 외곽으로 전세가흐름이 퍼져나가는 분위기 입니다.


매매 상승지역은
성남시 분당구 0.86%
수원시 장안구 0.26%
하남시 0.25%
용인시 수지구 0.24%
매매 하락지역은
안성시 -0.11%
고양시 일산서구 -0.06%
파주시 -0.05%
경기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9% 상승하고있으며,
14주 연속 상승흐름을 보입니다.
이번주 역시 성남시 분당구가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분당의 경우를 살펴보면
토허제 지정 이후 매수세가 줄었으나
선도지구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전세 상승지역은
하남시 0.62%
광주시 0.50%
안양시 동안구 0.30%
용인시 기흥구 0.29%
전세 하락지역은
부천시 소사구 -0.13%
안성시 -0.04%
시흥시 -0.04%
경기 아파트 전세가격 역시 0.10%의 상승폭을 보이고 있으며,
42주째 연속 상승흐름을 보입니다.
이번주 눈여겨볼 지역은
하남시, 광주시(경기) 입니다.
하남시의 경우 인근 송파구의 전세수요로 인해
전세 매물량이 줄어들며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인천(0.03%)은 7주 연속 오름새입니다.
그 외 안성시, 부천 소사구등은
이번주도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울산 0.07%
부산 0.03%
대전 0.0%
대구 -0.01%
광주 -0.01%
35주 연속 오른 울산 에 이어
부산 역시 서서히 오르는 모습입니다.
상승으로 돌아선 부산은
6주 연속 오름세 입니다.
대구 역시 상승 전환하는 듯 했다가
4주 연속 하락으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
부산 동래구 0.17
부산 해운대구 0.13
부산 수영구 0.08
부산 남구 0.05
부산 연제구 0.05
부산 금정구 -0.02
대구 중구 0.06
대구 수성구 0.03
대구 달서구 -0.01
대구 동구 -0.02
대구 북구 -0.04
대전 서구 0.04
대전 유성구 0.04
대전 동구 -0.01
대전 중구 -0.05
울산 남구 0.11
울산 중구 0.08
울산 북구 0.06
울산 동구 0.04
-
부산은 선호도 높은 해운대구 / 수영구 / 동래구 뿐 아니라
연제구 / 남구 / 진구 까지도 서서히 상승폭이 커지고 있으며
강서구/금정구의 경우 오히려 매매가가 하락하고 있는 양상입니다.
대구의 경우에는 중구, 수성구가
가장 큰 상승폭을 보입니다.
울산의 경우
여전히 모두 상승흐름을 보입니다.

부산 0.11%
울산 0.10%
광주 0.04%
대전 0.04%
대구 0.04%
5개 광역시의 전세가격은
11주 연속 오름세입니다.(0.07%)
광역시 전세가격은
일제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
부산 동래구 0.62
부산 서구 0.15
부산 진구 0.12
부산 남구 0.11
부산 해운대구 0.10
대구 중구 0.05
대구 수성구 0.04
대구 달서구 0.04
대구 남구 -0.01
광주 동구 0.1
광주 북구 0.03
광주 서구 0.01
대전 동구 0.09
대전 중구 0.08
대전 유성구 0.07
대전 서구 0.0
울산 남구 0.23
울산 중구 0.09
울산 북구 0.06
울산 동구 0.0
-
부산은 강서구/중구(보합)를 제외한 모든 구의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대구의 경우 북구/남구(하락)/동구(보합)를 제외,
전세가 상승이 시작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광역시의 경우
매매/전세 동반 상승하는 곳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투자 할 수 있는 기회는 여전히
많아 보입니다.

청주 청원구 0.01
청주 흥덕구 0.0
청주 상당구 0.0
청주 서원구 -0.05
천안 동남구 0.0
천안 서북구 -0.05
전주 덕진구 0.18
전주 완산구 0.13
포항 북구 -0.03
포항 남구 -0.07
구미시 0.08
창원 의창구 0.15
창원 마산합포구 0.09
창원 성산구 0.08
창원 마산회원구 0.02
창원 진해구 -0.03
김해시 0.0
-
중소도시 중에는
전주 뿐 아니라 창원 의창구가
높은 매매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천안의 경우 오랜 공급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매매가 하락세이며,
구미시의 경우
상승흐름이 보입니다.
매매가가 하향조정되고 있는 중소도시들은
여전히 있습니다.

청주 흥덕구 0.07
청주 청원구 0.05
청주 상당구 0.0
청주 서원구 -0.05
천안 서북구 0.02
천안 동남구 0.0
전주 완산구 0.07
전주 덕진구 0.02
포항 남구 -0.01
포항 북구 -0.01
구미시 0.16
창원 마산합포구 0.11
창원 의창구 0.07
창원 진해구 0.04
창원 마산회원구 0.0
창원 성산구 0.0
김해시 0.0
-
대부분 도시들의
증감률이 0.0%에서 횡보를 보입니다.
도시별로 살펴보면,
청주의 경우 전세가 흐름이 혼재되어있습니다.
천안의 경우 동남구는 전세가 보합
서북구는 상승하는 모양새입니다.
(각 생활권과 단지마다 전세가 하락유무는 다르니
꼭 개별확인이 필요합니다.)
그외의 대부분 중소도시 전세가는
매매가흐름과 유사한 모양새입니다.
이번주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KB 시계열 활용법, 읽는 방법 :
https://cafe.naver.com/wecando7/7787174
※KB 시계열 200% 활용법(투자적용) :
https://cafe.naver.com/wecando7/11116742
<KB 시세 업데이트 일정>
※ [KB리브온] 지역별 집값 상승률(매매/전세 시계열) : 매주 금요일 업데이트
※ 전국 랜드마크(대장) 아파트 순위 및 시세 : 매월 첫째 or 둘째 주 업데이트
※ 매달 평당가와 전세가율 거래량은 아래 자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