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석대로 가는 빈세니입니다.
단지의 가치와 가격을 비교할 때 보통
전고점으로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고점을 보면서 현재 가격이
얼마나 저렴한지도 확인이 가능하죠.
퀴즈를 하나 내 볼까요?
여기 두 단지가 있습니다.
A단지
B단지
A 단지는 전고점 대비 매매가가
14%가 떨어졌고
B 단지는 전고점대비 매매가가
39%가 떨어졌네요.
그렇다면 여러분은 어느 단지가
더 저평가 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정답은
전고점만으로는 알 수 없다
입니다.
오늘은 그래프를 보며 흔히 빠지게 되는
오류에 대해서 말해보고
전고점을 어떻게 바라보면 좋을지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 실거래가 되지 않아
전고점이 낮게 보이는 경우
위의 A단지는 범어 청구하이츠 이고
B단지는 만촌우방1차 입니다.
두 단지 모두 대구 수성구
학군지에 위치해 있습니다.
만촌우방1차가 지난 상승장에서
더 높은 전고점을 찍어서 무려
2.8억이 차이가 납니다.
두 단지의 가치가
이 정도의 차이가 나는게 맞을까요?
범어청구하이츠는 00년식인데다
언덕이긴 하지만 학군지인데다 주변으로
아파트가 쾌적하게 들어서 있습니다.
실거주 가치인
전세가를 보더라도 알 수 있죠.
다만, 240세대의 적은 세대수로
상승장에서 범어청구하이츠 매도인들은
매물을 거둬 실거래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실거래가 되지 않아
전고점이 낮게 찍히는 오류입니다.
# 복층, 이상거래로
전고점이 높게 찍히는 경우
반대로 이상거래로
전고점이 높게 찍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랏??
거래 하나만 치솟는 경우라면
매매실거래를 확인해보면 좋습니다.
이럴 경우 복층인지, 직거래인지,
아실의 그래프의 오류인지를 파악하고
전고점으로 인정할 수 있는
거래인지를 판단해야
높은 전고점의 오류에 빠지지 않습니다.
전고점을 비교해보기에 앞서
이 거래가가 적정 거래가였나를
2차적으로 살펴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 입지 또는 선호도가
변하는 경우
이 부분은 특히,
공급이 많은 지역에서 유의하셔야 합니다.
주변 환경이 바뀌고 천지개벽한다면
지난 장에서의 전고점보다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단지의 가치가 올라가
다음 상승장에서 전고점을 훨씬 뛰어넘는
가격이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입지가 안좋아진다면
전고점을 뛰어넘는 거래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겠죠.
과거 대구 수성구에서 메트로팔레스 3단지와
범어 푸른마을 청구의 가격은 비슷했습니다.
2015년에는 메트로팔레스 3단지의
가격이 더 높았네요.
하지만 이후에 어떻게 되었을까요?
시간이 지날수록
범어푸른마을 청구는
학군지로서의 입지가 부각되고
주변의 80년대 구축이 재건축되면서
환경개선이 되고 있는 반면,
메트로팔레스3단지는
시간이 지나고 아파트가 낡아지면서
장점이었던 연식이라는 선호도가
힘을 잃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직전 전고점은 무려
1.8억의 차이가 났습니다.
앞으로 주변에 더 좋은 신축의 대체지가 생기면
둘의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가장 중요한 부분은
단지의 가치를 제대로 아는 것입니다.
그래프를 붙여 전고점을 비교하기보다는
아래의 순서대로 좀 더 깊은
고민을 해 보세요.
1. 단지의 선호요소를 확인합니다.
거주민들이 이곳을 왜 좋아하는지
선호요소를 깊게 파악해봅니다.
임보를 쓰고 매물임장, 전화임장을 하면서
단지의 가치 파악에 집중합니다.
2. 단지의 선호요소가 대체 불가한
입지요소인지 파악합니다.
학군, 직장처럼 독점적이어서
대체 불가능한지
또는 연식, 택지처럼 대체될 수
있는지를 파악합니다.
(지역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점점 커지는 범어 학원가
3. 앞으로 전고점이 바뀔 수 있는
여지를 고민해 봅니다.
환경이 좋아지면서
또는 연식이 낡아지면서
입지와 선호도가 바뀔 수 있습니다.
'전고점 그 이상의 상승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전고점을 영영
회복하지 못할 것인가'
를 고민해보세요.
앞에서 말씀드렸던 푸른마을 청구와
메트로팔레스3단지처럼 충분히
가격이 뒤바뀔 수 있는 곳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이런 곳의 투자를 통해
앞으로 우리는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를 보면서 빠지지 말아야 할 오류와
더 의미있는 비교법에 대해서
나눠보았는데요.
단순 그래프 비교가 아닌
투자와 연결시켜서 바라보면서
더 좋은 투자를 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와... 한땀한땀 읽느라 시간가는지 몰랐네요... 내가 이렇게 전고점의 오류에 빠졌었구나 생각이 드네요... 단순히 전고점만 볼게 아니라 단지 선호도랑 입지 변화 같이 봐야하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세니님
결국 선호도이고, 그 선호도가 독점성을 갖추고 있는지가 더 중요하군요. 이번 글이 참 재미있었습니다 ㅎㅎ 대구사람인데 대구얘기가 나와서 더 재미있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