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중소도시 후순위 생활권 투자 괜찮을까요?

23.09.18

안녕하세요,

Q&A 게시판을 만들어 공부하며 궁금한 부분들을 질문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100만 중소도시를 공부중인 덩마입니다!


임장 후 해당지역의 1등생활권은 절대가가 높아 투자기준에 들어오지 않거나, 갭이 1억이상 이여서 현재 투자가 어렵고

2,3순위 생활권의 투자가치가 느껴지는 곳 또한 신축으로 절대가가 높아 현재 투자기준에 들어오지 않고

4순위 생활권의 구축(2억후반)인 곳이 투자가능한 곳으로 보입니다.


지방을 공부할 때 배운건, 입지 좋은 곳의 신축... 지방은 신축...! 이라고 배웠지만

막상 임장을 하고나면 투자금액 등 상황을 고려했을때 늘 후순위 생활권의 구축 아파트가 투자대상으로 선정이 됩니다...


우선순위인 생활권들의 가격이 조금씩 반등한 지금, 그리고 투자가능한 금액이 아닌 신축,,들 사이에서

아직 오르지 않은 후순위 생활권의 구축 아파트를 투자하려고 생각하는게 올바른 방향일까요?




댓글


호재라이언
23.09.19 09:38

안녕하세요. 말씀하신대로 지방에서는 후순위 생활권의 비선호 단지에 투자할 경우 보유와 매도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저평가 상태임을 기본으로 가능한 투자금 내에서 상위 생활권, 상위 선호 단지에 투자할 물건은 없는지 다시 한번 재검토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줴러미creator badge
23.09.19 10:52

안녕하세요 ^^ 아래 호재라이언님께서 말씀주신 것처럼 후순위 생활권 구축 아파트일 경우 향후 물건을 끌고 나가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금이 조금 더 들더라도 지역 사람들의 선호도있는 단지를 매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그런 물건이 없다면 다음 앞마당으로 향하셔서 비교평가 해보시고 매수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그럼 파이팅입니다!

여정기
23.09.19 10:52

안녕하세요 덩마님 :) 앞으로도 Q&A 게시판에 궁금한 것 있으면 언제든 남겨주세요^^ 덩마님 열심히 공부하고 계시는 것이 글에서 느껴졌습니다. 다만 조심하셔야 하는 것은 투자에 있어 단정짓는 사고라고 생각해요 :) 지방에서 신축을 우선으로 봐야하는 것이 맞지만 그 이유에 대한 고민이나 고찰이 없으면 자칫 지방은 구축투자는 무조건 안돼라는 접근이 되기 때문이에요. 지방의 경우에는 인구수가 수도권보다 한정적이고, 지역의 대표 일자리가 자차 30분 이내로 접근되는 지역이 많은 것이 특징이에요. 수도권은 이와 반대로 강남으로 출퇴근 하기 위해 1시간이 넘는 거리고 왔다갔다 하는 것은 직장과 거리가 가까운 곳의 가격이 높기 때문이에요. 반면에 지방은 조금 외곽이라고 직장까지 금방 접근이 가능하니까, 굳이 직장 근처의 구축이 아닌 외곽이라고 환경이 좋은 신축으로 거주하려는 수요가 많아 수요가 분산되는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부동산은 거주민의 선호도를 찾아가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해요. 위의 이유때문에 지방의 경우 '대부분'은 입지 좋은 구축보다 신축을 선호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하지만 이것도 일반화해서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예를 들어 대전의 둔산동은 구축 생활권인데 대전의 대장 역할을 하고 있어요~ 대전도 중심부로 이동하려면 차가 많이 막혀 직장까지 접근이 오래 걸리는 부분도 있고, 중심부에 좋은 직장 뿐 아니라 상권과 학군지까지 갖춰져 있는 중심 핵의 힘이 있어서 그렇거든요~ 지방을 임장하실때는 무조건 신축만 투자할 수 있어라는 관점이 아니라, 이 지역의 특징을 이해하고, 입지 좋은 구축과 그렇지 않은 신축 중 이 지역의 사람들이 뭘 더 좋아할지라는 선호도의 관점으로 접근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두번 째로는 투자의 본질입니다. 투자는 가치 대비 가격이 싼 것에 하는 거에요~ 가장 좋은 곳에 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부분도 중요할텐데요. 만약 내가 감당가능한 곳들이 전부 상승하고 남은 곳이 구축인데, 그 곳이 살기 좋고 거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도 높은 곳이라면 투자처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게 어느 단지인지가 중요할거에요^^ 무조건 구축은 안되라는 관점이 아니라 어느 위치에 있는 단지이고 그 단지가 선호도가 높은 단지인지,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가치 대비 가격이 싸고 내가 감당 가능한지의 관점으로 접근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고민하고 성장하실 덩마님 응원하겠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