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스스로를 구하는 투자자
구세주입니다.
현재 지방은 각 지역별로
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요.
공급이나 심리에 따라서
흐름이 다르게 가고있기도 합니다.
이런 시점에서 지역별로 가격을 비교하고
더 싼 지역을 고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저는 다음의 세 가지 단계로
지역을 비교평가를 연습해볼 것 같습니다.
광역시나 중소도시 투자를 한다고 했을 때
지역을 고르는 방법은
각자마다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직관적으로 알기 위해서는
비슷한 연식, 가격, 타입의 단지들이
지역 내 어디까지 내려가 있는지 알면
훨씬 비교하기 쉽습니다.
각 광역시별로 어느정도의 단지들이
이정도 가격선에 있는지 보면서
시장의 저평가를 가늠해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6년식 이상, 3억대, 84타입의 단지]
라는 기준으로
앞마당 내 각 광역시별
단지들을 찾아서 올려보겠습니다.
저는 대전에서 먼저
이런 단지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예상대로 16년식 이상 3억대 84타입 신축은
몇 개 나오지 않네요.
유성구라는 상위선호가 있는 구,
대덕구라는 비교적 하위선호 구
이렇게 단지들이 있습니다.
이 단지들을 비교평가 해본다면
지역내에서도 저평가 지역과 단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네요.
※ 주의) 단지의 가치를 잘 알고 있어야
정확한 비교평가가 가능합니다.
대전이라는 지역은 140만 도시입니다.
그렇다면 비슷한 체급의 100만 광역시는
광주(141만), 울산(110만)이 있습니다.
같은 기준인
[16년식 이상, 3억대, 84타입의 단지]
으로 올려보고 판단해보겠습니다.
광주는 북구와 동구의
각 1개 단지씩 나오는군요.
광주내에서도 외곽에
위치한 단지들이군요.
그 다음으로는 울산입니다.
울산은 북구와 동구에 단지들이 있네요.
단지들이 많아서 다 올리지는 않았습니다.
만약 위 세 개의 지역과 단지들이
앞마당 내에 있다면
1) 단지별 지역내 선호도가 어느정도인지
먼저 비교평가하고
2) 지역별로도 각 구별 위상과
생활권 및 단지를 비교해서
3) 어디가 더 싼지 비교할 수 있습니다.
저는 여기서 16년이상, 3억대, 84타입은
광주가 두 지역에 비해 싸지는 않다고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기준을 잡고 지역내에서 찾으면
어디까지 내려가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체급이 비슷해야
비교평가가 쉽고 가능하지만
체급이 다른 도시도 궁금해서
비교를 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대구가 어떤지도 올려보았습니다.
대구는 위 도시들에 비해
100만이 더 많은 240만 도시라서
땅부터 넓습니다.
그리고 외곽에 단지들이
너무 많이 나와서
올리지도 못했네요..^^;
이렇게 비교해보니
도시 체급이 더 높은 대구는
외곽이 아닌 중심부에도
같은 기준의 단지가 꽤 있고
심지어 선호도 높은 단지들도 있군요.
대부분 알고계시지만 대구시장이
정말 싸다는 것을
제가 해보면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광역시를 비교했지만
비슷한 체급의 중소도시들도
충분히 해볼 수 있습니다.
창원(100만)
천안(65만) 청주(85만) 전주(65만)
....
등 비슷한 체급 내에서도 해보면서
지역에서 어느정도의 단지들이
나오는지 살펴보고 비교합니다.
저는 이렇게
[16년식 이상, 3억대, 84타입의 단지]
라는 기준으로 보았지만,
비교평가를 더 잘하기 위해서는
[~연식 / N억대 / O타입] 으로
모든 앞마당을 펼쳐놓고
지역 내 어느 정도의 위상을 가진
단지들이 나오는지를 보며
저평가 지역 or 저평가 단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런 연습은
비교평가의 질을 높이면서도
더 좋은 지역, 더 좋은 단지들을
고를 수 있는 눈이 생기네요.
여기에서 단지 대 단지를 비교하거나
또는
지역내에서 사람들이
더 선호 지역 등을 생각해보며
연습을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어떻게하면
저평가 지역과 단지들을
찾을 수 있는지 설명드렸는데요.
결국 본인이 직접 가격과
기준을 설정해보면서
지역이 어디쯤 위치해 있는지 알아보고
비교평가의 질을 높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단순히 그래프를 보고
지역을 판단하는 것이 아닌,
임장을 통해서 지역의 가치를
하나하나 제대로 쌓고
단지의 가치까지 확실히 아는 상태에서
이런 비교평가는 질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저도 이런 비교평가를 통해서
실력을 쌓아 극복하고
잘 끌고갈 수 있도록
계속 공부해나가겠습니다.
방법을 제시하고 알려주시고
적용까지 잘 마칠 수 있도록 도와주신
자음과모음 멘토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글을 남겨주신 멤버에게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로 감사함을 나눠주세요. 😀
댓글
와 세주님! 비교평가, 저평가 찾는 법 좋은 글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이번달에 꼭 제대로 해보고 싶은 부분이기도 한데 알려주신 방법 적용해보겠습니다. 그래프에 너무 매몰되지 않도록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