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커뮤니티구해줘내집
오리지널오리지널 정규부동산 기초소액 투자내집마련지역 분석실전 임장임장 보고서
부동산부동산 입문경매/공매청약/재개발세금/대출
재테크/주식주식/코인창업/부업재테크기초자기계발
코칭투자코칭매물코칭
돈 버는 독서 모임돈 버는 독서 모임

토마토 토마스

레벨

2
팔로워
6
작성한 글
7
댓글
2
배지
소개작성 및 활동팔로우
작성한 글
6
댓글단 글
4
저장한 글
105
배지
2
전문가칼럼
, |킴찹creator badge

노후 준비 자금, 연금저축계좌에 S&P500 ETF 담아야 하는 이유

과연 우리가 나이 들어서 더 이상 생산 능력이 없는 시기에 노후자금은 얼마나 필요할까요? 국민연금 연구원이 발표한 제10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에 따르면, 2024년 말 서울 거주 부부 기준 최소 노후 생활비는 월 248만 원, 적정 생활비는 월 337만 원 이상으로 추산됩니다. 평균 수명을 고려해 25년간 생활한다고 가정 시, 최소 10억 원 이상의 노후자

25.09.09|조회수 5,573
3818
전문가칼럼
|내집마련월부기creator badge

대치만큼 학군이 좋은데, 수도권 4억대 가성비 아파트 2곳 공개🔥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의 내집마련을 함께하는 내집마련월부기입니다. 최근 강남의 상징적인 단지, 은마아파트가 드디어 20년 만에 재건축의 첫 단추를 끼웠다는 소식 들으셨나요? 강남 재건축의 상징이라고 불리던 단지인 만큼, 이번 소식이 다른 강남권 재건축 사업에도 영향을 줄지 많은 이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무려 20년 넘게 지연되던 사업이 움직이기 시작했으

25.09.06|조회수 59,805
9630
전문가칼럼
|월부Editorcreator badge

[월부 서울 5개구 집중분석 보고서📕] 2025 하반기 서울 유망지역 TOP5 완벽분석 (+지역별 아파트분석까지) 무료공유🔥

처음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막막하다”일 겁니다.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무엇을 먼저 고민해야 할지, 누구나 같은 벽에 부딪히죠. 보통은 예산을 먼저 따져보고, 그다음 자연스럽게 ‘지역’을 고민하게 됩니다. “내가 가진 자본으로 어디를 들어가야 할까?” “익숙한 동네 말고, 내가 살아보지 못한 지역은 어떤 특

25.09.09|조회수 12,850
112731
전문가칼럼
|월동여지도creator badge

현금 2억 있다면 여기를 보세요. 제2의 강동구라 불리는 여기가 어디냐면.. (대부분 모르는 ‘이곳’의 지역명 공개)

안녕하세요, 살기 좋은 지역을 대신 찾아드리는 월동여지도입니다. 최근 엄청난 이슈가 하나 나왔는데요🤯 “25년 8월 28일부터 전세대출 막힌다”는 소식에 빌라 집주인들이 파산 위기라며 아우성이라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출처: 머니투데이) 전세대출이 막히면 세입자들은 집을 구하기가 더 어려워지고, 집주인들은 전세 수요가 줄어 곤란해질 수밖에 없는데요. (출

25.08.29|조회수 97,588
10721
전문가칼럼
, |김인턴creator badge

"이거 모르고 집 사면 평생 후회합니다..." 내 집 마련 핵심 체크리스트 3가지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분들에게 인생의 턴잉포인트가 되고 싶은 김인턴입니다. 무더웠던 8월이 지나고 아침 저녁으로 선선함이 느껴지는 9월이 시작되었습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니 2025년 올해가 생각보다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이 꽤나 놀랍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25년을 시작하면서 세웠던 계획, 목표 혹은 다짐들을 기억하시나요? 아마 이 글을 읽

25.09.03|조회수 5,189
11839
전문가칼럼
|내집마련월부기creator badge

강남 30분 컷! 현금 2억 대로 가는 ‘서울 신축’ 아파트 2곳 찾았습니다. (+지역분석, 아파트분석 총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의 내집마련을 함께하는 내집마련월부기입니다. 최근 전세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전세계약을 연장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거 알고계신가요? 월부기도 곧 2년 계약이 끝나가는데 도저히 2년 전 가격으로 비슷한 컨디션 집을 찾을 수가 없을 것 같아서 계약갱신청구권을 쓰고 연장을 했습니다 실제로 지난 2021년 계약갱신청구권 제도 시행 이

25.08.21|조회수 24,358
8126
전문가칼럼
|월부튜브creator badge

하루 6분 '이 운동' 하세요. 노화 늦추는 국가대표가 하는 초간단 운동법

(출처: 한국미래일보) 근육 1kg의 가치는 무려 1,300만 원이라는 사실, 아셨나요? 👇 아래와 같은 증상을 느끼신다면 매일 돈을 잃는 것과 같은데요. “예전보다 걸음이 느려졌다.” “계단 오르기가 유난히 힘들다.” “점심 먹고 나면 졸음이 쏟아진다.” 이것은 단순한 피곤함이 아니라 근육이 줄고 있다는 경고입니다. 기성용·윤성빈 선수 등 국가대표 선수

25.08.21|조회수 1,360
125
전문가칼럼
, |너나위creator badge

[너나위] 100억 자산가는 여름 휴가를 어떻게 보낼까?

안녕하세요. 너나위입니다. 무덥기만 한 게 아니라 비도 많이 오는 것 같아요. 모든 분들이 이번 여름 무탈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휴가를 왔습니다. 이런 걸 글로 적는 걸 썩 좋아하는 편은 아닙니다만, 그래도 인사를 좀 드릴까해서 적어봅니다(제목은 저도 한 번 자극적으로…ㅎㅎ 죄송합니다) | 휴가를 보내며 제가 목표로 했던 자산을 만들고 나서 저는 여름과

25.08.14|조회수 17,250
679303
전문가칼럼
투표중
, |광화문금융러creator badge

주식 투자가 두려운 당신이 꼭 알아야 할 4가지 진실

"너네들은 주식 투자 절대 하지 마라" 제가 처음 주식 투자를 시작했을 때, 저에게도 주식 투자는 ‘두려운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비교적 이른 대학생 때부터 투자를 결심한 이유는, 투자를 하지 않고는 내가 원하는 미래를 그릴 수 없을 것 같은 위기감 때문이었습니다. 당시에는 ‘안정적인 투자 = 부동산’이라는 인식이 지금보다 훨씬 강했습니다. 주식으

25.08.11|조회수 6,151
7625
전문가칼럼
, |김인턴creator badge

2억으로 강남·판교 10분컷 아파트? 지금 여기, 안 보면 진짜 후회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분들에게 인생의 턴잉포인트가 되고 싶은 김인턴입니다. 강남과 판교까지 10분대에 진입이 가능한 지역에 2억으로 투자가 가능하다면..? 앞으로 다가오는 시장에서 꼭 알아두어야 할 지역은 어디일까요? 저라면 이 지역을 반드시 알아두고 지켜볼 것 같습니다. 왜 '이 지역'을 주목해야하는지 그 이유부터 먼저 정리해보겠습니다. #서

25.07.31|조회수 19,908
15640
전문가칼럼
|민군creator badge

블루오션 VS 레드오션, 어떤 부업을 해야 할까?

요즘 ‘월천 버는 법’ 이라는 말, 정말 자주 보이죠.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을 것 같고, 나도 곧 될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그러나 막상 시작해보면 현실은 다릅니다. 열심히 해도 백만 원도 벌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죠. 이쯤 되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내가 잘못 고른 걸까? 이미 돈 벌기에는 너무 레드오션인 거 아니야?’ 블루오션이 아니라 ‘이걸

25.08.06|조회수 4,350
7933
전문가칼럼
|월부튜브creator badge

대통령 글쓰기 강원국의 돈 되는 말하기 전략

누구나 자기 말로 먹고 살아야 될 시기가 온다 직장이 나를 대변해주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명함 속 직책이 아닌, 내 생각과 경험이 담긴 내 말과 글이 나를 증명합니다. SNS에 글 하나를 올리더라도, 누군가 귀 기울여 듣고, 시간을 내어 찾아오고, 심지어 돈을 내고 싶게 만드는 ‘나만의 말과 글’을 갖추는 것.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대통령의 글

25.08.10|조회수 476
94
전문가칼럼
|내집마련월부기creator badge

이거 실화? 교통, 학군, 환경 다 좋은데 현금 1억대로 살 수 있는 서울 ‘이곳’?! (+가성비 역세권 대단지 아파트 2곳 공개)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의 내집마련을 함께하는 내집마련월부기입니다! 지난 6월 27일 대출규제 이후 시장에 꽤나 타격이 있는 것 같습니다. 내집마련, 투자를 하고자 하여 부동산을 계속해서 방문하시는 분들은 더욱 느끼실 것 같은데요. 특히 서울아파트 거래량은 70% 급감하였다고 합니다. 그럼 서울 아파트 값이 전체적으로 떨어지고 있는건가? 하고 보다보면 또 이런

25.07.28|조회수 11,307
6723
전문가칼럼
, |은퇴연구소creator badge

부동산 없이 9년 만에 순자산 20억을 만들었다고?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시작 된 월부에서 부동산 없이 9년 만에 순자산 20억을 만든 이야기를 하려니 뭔가 쑥스럽네요; 하지만 제 주력이 소득파이프 (블로그)이니, 이 이야기는 안할 수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첫번째 연재하는 칼럼이니 제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그 시작이 뭘까라는 고민에서 제목을 위와 같이 정했답니다. 2016년, 썩빌 1.6억 전세 풀대출

25.07.02|조회수 13,121
8454
전문가칼럼
, |은퇴연구소creator badge

20억 벌게 해준 가계부 (무료로 나눠드립니다)

1편을 안보신 분들은 먼저 1편부터 보고오시면 아래 글을 읽는데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https://weolbu.com/s/E28nGeCm0A 흙수저가 어떻게 9년만에 20억을 모았냐구요? 송구하지만,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그냥 열심히 벌고, 모으고, 불리는 걸 꾸준히 반복했을 뿐… 특별한 노하우는 없습니다. 2016년도 가계부 시작할 때 저희

25.07.18|조회수 5,693
70652
전문가칼럼
|내집마련월부기creator badge

현금 1억 대 있다면 당장 서울 ‘이곳’으로 가세요. 마지막 남은 역세권 대단지 아파트 2곳 공개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내집마련을 함께하는 내집마련월부기입니다! 지난달 6월 28일부터 대출규제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때 당시 앞으로 어떻게 될지? 많은 분들이 혼란스러우셨을 것 같은데요 벌써 대출 규제가 시작된지 2주가 다 되가는 이 시점! 이런 저런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요 “부동산에 오는 분들이 확실히 줄었어요” “근데 신고가 찍고 있는 아파트도 있던

25.07.12|조회수 170,987
21351
전문가칼럼
, |월부Editorcreator badge

가난한 사람에겐 없지만 부자에겐 있는 얼굴 특징 “천명 넘게 만나고 알게 됐습니다.”

오늘 하루, 거울을 얼마나 보셨나요? 혹시 나의 얼굴이 마음에 들지 않아 인상을 찌푸리셨나요? 하루 사이, 얼마나 웃었는지 기억 나시나요? 옛말에 웃는 얼굴이 복을 부른다는 말이 있습니다. 관상학적으로 부자되는 얼굴은 따로 있다는 속설도 있고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부자되는 얼굴”이 따로 있지 않을까? 많이 궁금해하시는데요. 오늘은 이 질문에 대해 부자들

25.06.10|조회수 216,429
12142
신규멤버필독
너나위creator badge

[너나위] 입니다. 저는 이 3가지를 통해 가난에서 벗어났습니다.

안녕하세요, 너나위입니다. 2020년 2월, 저는 40대를 앞두고 회사를 그만두었습니다. 이른 은퇴였지만, 오래된 결심이었습니다. 그리고 고민했습니다. 난생 처음 맞는 나의 40대를 어떤 모습으로 채워갈 것인가. 마침 이 때는 제 주변인들, 특히 제 동생과 친구들이 옛날의 저와 같이 부동산에 대한 편견과 오해 속에서 힘들어하던 시기였습니다. 그 모습을 보는

25.07.11|조회수 13,196
415217
전문가칼럼
, |너나위creator badge

[너나위] '해야지, 해봐야지...' 재테크가 막연하다면(재테크 성공 공식)

평소 길을 걷다 보면 꽤 많은 분들이 인사해주신다. “혹시 유튜버 아니세요?” 부터 “저 얼마 전에 너나위님 강의듣고 내집마련 했어요!”까지. 닉네임도 모르는 분부터 본명도 아는 분까지 다양하다. 웃으며 인사해주시는 것만으로도 그렇게 감사할 수가 없다. 얼마 전에 4,50분 정도 달리기를 하고, 오는 길에 한티역 근처에서 버스를 탔다. (나도 이 날 꽃구경

25.04.24|조회수 11,177
221115
실전투자경험
지니플래닛creator badge

전화임장에 디테일을 더하는 법 (ft.양식공유) [지니플래닛]🚀🚀🚀=33

안녕하세요. 겸소하게 나누고 즐겁게 성장하는 투자자 지니플래닛입니다. 새로운 한 달이 시작되고 어김없이 전화임장의 압박(?)도 함께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아직 전화임장만 생각하면 가슴이 두근거리고 심호흡이 필요하신 분들도 계실테고 이제 전화번호를 누르는 것까지는 익숙해졌는데.. 그리고 양도 늘려봤는데.. 어떻게 더 질을 높일까? 고민이 되는 분들도 있으실

25.07.08|조회수 1,039
7380
  • 1
  • 2
  • 3
  • 4
  • 5
  • 6
상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