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헷갈리는 결론, "아파트 투자 선택"을 도와주는 세 가지 생각[부주낙낙]

  • 24.05.20

안녕하세요😊

부주낙낙입니다.


벌써 한달의 절반이 지났네요.


지금 시점이면 이번 달 투자결론을 향해서 많은 투자자분들이 시간을 쏟고 계실 것 같습니다.

오늘은 그 결론에서 투자단지 선택을 도와주는 생각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임장을 하고, 선호도 파악도 해본 후 마지막 단계로 가면서

투자 단지 선정을 할 때는 참 헷갈리는게 많은 것 같습니다.


투자 할 하나의 단지 혹은 1~3개의 후보단지(TOP3라고 하기도 하죠)를 뽑을 때 비슷한 고민이 반복됩니다.



예를 들어 수도권이라면,

- 비역세권의 단지 vs 역세권의 단지

(더 자세히는 비역세권이지만 환경이 좋은 단지 vs 환경은 아쉽지만 역세권의 단지)


지방이라면,

- 중심지 비균질 단지 vs 외곽 택지 단지

(더 자세히는 중심지의 균질성 아쉬운 브랜드 대단지 vs 외곽의 균질성 좋은 택지의 단지)


또는

중심지 구축 vs 외곽 신축

중심지 24평 vs 외곽 32평



비교평가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많은 변수들(연식, 평형 등)을 고정하고 평가하는 단계를 넘어, 임장지에서 매물도 보고 검토도 하면서 결론부분으로 갈수록 연식이나 평형들을 통제할 수 없이 다양한 단지들을 검토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고민들이 드러나는 것 같아요.


우리는 결국 마지막 결론 단지를 ‘선택’하는 순간을 맞이합니다.


오늘은 그런 선택에서의 도움되는 생각을 얘기하려합니다!


---


“하나의 선택이 나머지 하나를 압도하는 것인지 생각해봐요.”

잔쟈니 튜터님, 월부학교 반 모임 中


지방 중소도시에서 임장을 하면서 A단지와 B단지의 가치만을 보았을 때

어떤 선택이 더 좋은가, 쉽게 얘기하면 어떤 단지가 더 좋은가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습니다.





“하나의 선택이 나머지 하나를 압도하는 것인지 생각해봐요.”

-잔쟈니 튜터님


튜터님의 말씀을 듣고


헷갈리는 두 단지를 선택할 때,

A단지의 투자선택이 B단지 투자선택을 압도하는 것인가?


제가 고민하던 단지에서 제 생각은 ‘아니다’ 였습니다.


아파트 단지들의 가치 판단을 하는 생각에서

1) “얘가 쟤보다 더 좋은데”

2) “얘가 쟤보다는 더 별로인데”

3) “얘랑 쟤는 비슷한 것 같은데”


아마 이 3)번의 상황에서 늘 고민을 많이 하곤 했던 것 같습니다


위의 단지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이 어떤 지역에서든 선택에서 헷갈리는 비슷한 단지들이 있습니다.



비슷한 가치의 범주 안에 있는 단지들에서 선택을 하는 것은 소소한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대세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이런 상황에서는 보유의 관점으로 보유여부가 더 중요한 것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비슷한 단지를 찾아보고 비교평가하는 것도 좋지만, 1)번의 단지, “얘가 쟤보다 더 좋은데” 케이스의 선명한 선호도의 차이를 잘 구별할 줄 아는게 더 먼저이고 중요하다는 생각도 함께 듭니다.




---


“그리고 이 단지들을 예전부터 지켜봤을 때, 어떤 때는 A단지가 투자하기 좋았고, 어떤 때는 B단지가 투자하기 좋았어요.”

잔쟈니 튜터님, 월부학교 반 모임 中



“하나의 선택이 나머지 하나를 압도하는 것인지 생각해봐요.”

“그리고 이 단지들을 예전부터 지켜봤을 때, 어떤 때는 A단지가 투자하기 좋았고, 어떤 때는 B단지가 투자하기 좋았어요.”

-잔쟈니 튜터님


그리고 이런 선택의 상황에서, 그 시기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타이밍 투자가 아니라 이 시기는 가격에 대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가치판단을 하고 이런 생각을 했었습니다.


1) “얘가 쟤보다 더 좋은데”

2) “얘가 쟤보다는 더 별로인데”

3) “얘랑 쟤는 비슷한 것 같은데”


그리고 여기에 가격을 더하면 생각의 흐름은 이렇게 됩니다


1)“얘가 쟤보다 더 좋은데 더 싸네

2)“얘가 쟤보다는 더 별로인데 더 비싸네

3)“얘랑 쟤는 비슷한 것 같은데 얘가 더 싸네


이런 가격에 따라서 투자에 대한 선택이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첫번째 예시였던, 지방 중소도시의 A와 B단지를 다시 생각해보면

3)“얘랑 쟤는 비슷한 것 같은데 얘가 더 싸네

지금은 B단지가 더 좋은 선택이 될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는 이어지는 세번째 생각인, 더 보편적인 수요도 적용되는 예시인 것 같아요)


---




“조금 더 보편적인 수요와 선호도를 가진 곳을 선택할 것 같아요. 이건 환금성과의 연관입니다.”

잔쟈니 튜터님, 월부학교 반 모임 中


“하나의 선택이 나머지 하나를 압도하는 것인지 생각해봐요.”

“그리고 이 단지들을 예전부터 지켜봤을 때, 어떤 때는 A단지가 투자하기 좋았고, 어떤 때는 B단지가 투자하기 좋았어요.”

“조금 더 보편적인 수요와 선호도를 가진 곳을 선택할 것 같아요. 이건 환금성과의 연관입니다.”

-잔쟈니 튜터님


조금 더 보편적인 수요에 대한 점은 지역마다 그리고 상황마다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방에서는 나홀로 브랜드 대단지보다 외곽 택지가 더 풍부한 수요를 가질 수 있을 수 있고,

수도권에서는 학교와 마트 관공서들이 있는 택지보다, 적당한 환경의 역세권 단지가 더 넓은 선호를 가질 수도 있는 것 같아요


※과거 투자사례 복기

과거 투자사례인, 단지 A를 투자하고 복기하며 알아갔던 것은 지역의 특색에 맞는 더 보편적인 수요와 선호도를 선택하는게 더 나은 선택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지역은 수도권이고, 또 수도권에서도 다소 배드타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교통이 주요한 핵심선호가 될 수 있는 곳입니다. 그런 면에서 택지의 환경도 좋은 선호요소이지만 지역과 평형을 고려했을 때 더 보편적인 선호요소는 교통일 수 있겠다는 점입니다. 비슷한 기회에서 헷갈리는 단지의 선택에 더 보편적인 '역세권(교통)'단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것 같아요.


---




마무리하며(정리)

투자물건 선정할 때 할 수 있는 생각흐름 세 가지


첫번째, 하나의 선택이 다른 하나를 압도하는가

두번째, 투자물건의 가격과 투자금은 어떤 수준인가

세번째, 더 보편적인 수요와 선호도를 가진 단지는 어디인가



그리고 비슷한 선호도 범주의 단지에서의 선택은 자산을 보유하는가 아닌가의 문제일 수 있다는 점 생각하기


---


반모임 시간에서 배운 것들을 풀어보았습니다.

투자고민에서 우문현답을 주시는 잔쟈니 튜터님 감사합니다!!!

10반 봄쟈니 우리반 파이팅입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좋은 글을 남겨주신 멤버에게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로 감사함을 나눠주세요. 😀

댓글


양파으니creator badge
24. 05. 20. 08:41

환금성과 압도할수있는 가치의 여부!! 감사합니다 낙낙님🧡

이막
24. 05. 20. 14:48

1,2,3그리고. 보유했냐... 감사합니다,낙낙튜터님:)

구세주creator badge
24. 05. 20. 23:03

낙낙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