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넴쓰입니다.
첫 강의는 권유디 튜터님께서 열어주셨는데요
이번 임장지로 선택할까 고민했던 지역을
말씀해 주셔서 더 와닿았습니다.
지방과 수도권은 입지 요소의 비중을 다르게 해야하는데
이걸 그냥 외우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을 이해하는게
정말 중요하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퉁쳐서 단지를 보는게 아닌 그 지역을 이해하기
지방은 땅의 가치가 없기 때문에
땅의 가치가 있는 수도권과는 어떻게 다른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지방투자는 수도권처럼 역세권, 강남접근성 등이 아닌
인구수가 많고, 환경이 좋고, 또 학군이 좋아서
10년이상 안정적으로 아이를 키울 수 있는곳이
사람들이 좋아하는 환경이라는걸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임장보고서를 쓸때면
임장보고서가 각각 따로 노는 것 같은 기분이
드는 때가 많았는데요 ㅠㅠ…
기분이 드는게 아니고 실제로 그랬다는걸
한 번 더 느낄 수 있었습니다….!
투자로 연결되는 임보를 써야 하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쓰다보면
중요하지 않은걸 깊게 파고 있기도 하고,
또, 열심히 고민해놓고
투자와 연결지어야 할때는 잊을 때도 있었는데
지역을 분석할때 어떻게 투자와 연결해야하는지
또 가장 의미있는 분석이 무엇인지 알려주신 부분이
가장 기억에 남았습니다.
또 지방의 한 곳에 대해 깊게 알려주셨는데
강의해주신 지역은 구축이 많아서
어렵지 않을까 느껴졌던 곳인데 튜터님의 강의를 듣고
조금은 기준이 생긴 것 같아 감사합니다.
또 이 지역에의 주요 시설이나
거주지를 한 판에 알려주셔서
어디까지 투자하면 되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되어서
한동안 외면했던 지역이지만
이곳도 투자로 가치가 있겠다고 느꼈던
강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유디 튜터님께서는
그래프라든지 수치에 집착하기 보다는
직접 발로 현장에서 느끼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걸
수차례 강조해주셔서 임장보고서를 쓸 때마다
한쪽 귀퉁이에 써놔야겠다고 다짐할 수 있었습니다.
정량적인 수치가 아닌 정성적으로 그 지역에 대해 이해하기!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