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리롱님의 강의는 처음이였어요 

일상생활에 빗댄 비유로 투자라는 행위를 쉽게 다가오게 만드는 강의였습니다. 

 

  1. 가치있는 물건인지 판단하자 

  입지한파 정리를 통해 이 물건이 단순히 저평가인지, 저가치인지 판단하기 

  가치가 있으면서 저평가인 물건은 괜찮다. 그러나 저가치인 물건은 일단 기준에서 탈락시켜라 

 

 2. 저환수원리 기준에 따라 판단하기 

  저평가 :   결국은 가치를 알고 가격을 비교하는 것인데 아는 지역이 많을 수록 비교평가가 잘 된다. 

  환금성 : 객관적 기준이 아닌 사람들이 좋아하는 선호도를 파악하고 팔고 싶을 때 잘 팔리는 물건을 사는 것 

 수익성: 수익율을 따지느냐… 수익금을 따지는냐… 지금은 투자금을 줄여 수익율을 높이기 보다는 내 투자금 

            내에서 가장 좋은 것을 사서 오래 보유해서 절대적 수익금을 늘리는게 더 유익하다. 

 원금보장: 잃지 않는 투자를 하는 것, 전세가율이 중요하다. 대부분은 전세가가 하방지지선을 받쳐주며 전세가가 올라가면서 매매가를 올린다. 그러나 전세가가 낮아지면 매매가도 낮아질 수 있는 점을 유의하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세가율은 너의 원금을 보장해주는 최저 지지선이다. *원금보존을 위한 의사결정 

리스크 : 역전세리스크, 잔금 리스크, 통제 불가능한 범위이므로 대출 금지, 현금 유동성을 어느 정도 확보해서 리스크에 대비하자 

 

3. 나만의 기준을 확립하자 

그것이 오래 버티고 보유하는 원동력이다. 그 가치를 제대로 알아야 최악의 상황 전세가 내려가고 매매가 내려가지만 

물건을 가지고 버티는 능력이 늘어난다. 

 

4. 내가 본 매물 외 더 좋은 물건이 없는 지 다른 부동산도 털자 

 그래야 더 좋은 물건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 

bm: 인근 다른 주변 부동산도 전화임장을 진행하자. 102동 1602호보다 더 싸고 상태가 좋은 물건 있나요?

       없으면 방문해서 확인하자 

 

5. 복기의 힘 

 내 물건에 대한 추이, 의사를 끊임없이 복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자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다. 


댓글


쥬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