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루쌓기입니다.
주택을 보유하고 계신분들께서는
이번 달 재산세 고지서를 받으셨을겁니다.
월부닷컴에서 “재산세”로 검색하시면
재산세 납부기준일 및 부과기준일
그리고 계산방법에 관해 작성된
많은 글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도 이번달 재산세
고지서를 받았습니다.
받자마자 고지서 뒷 페이지에
나와 있는 계산식을 참고해서
재산세를 계산해 보았습니다.
몇 번을 해 보았지만,
고지서에 나와있는 대로 계산을 해 보았지만,
숫자가 맞아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계산한 금액이 더 많았습니다.
고민했습니다.
‘몇 만원 차이가 안 나는데.. 이 시간에 다른 것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을까..?’
작년까지의 저라면
끝까지 확인하지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저는 작은 돈이라도
소중히 여기고 아끼며
또 사랑하고 그런 돈들이 뭉쳐져
나에게 다시 큰 부를 가져다
주는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부의 태도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저는
계산식에 적용되는 각각의 항목을
이루는 근거를 법과 시행령을 통해
확인하고 또 그래도 맞지 않은
금액은 구청에 전화하여
끝까지 그 근거를 확인했습니다.
중간 중간마다
꼭 이렇게까지 해야 할까
구청직원이 잘못 계산해서
이미 나한테 이득인 것 아닐까..
굳이 다시 확인해서 내야 할 돈이
더 늘어나는 것은 아닐까
공무원에게 괜한 미움을 사는 것이 아닐까?
전임하기 위해 첫 부동산에
전화할 때처럼 오만가지 잡생각이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전화를 걸기 전
법규정을 찾고 그것을 이해하고
다시 계산해 보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끊임없이 스스로와 투쟁했지만
또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 낸 것
같아서 뿌듯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는
각 단계 별로 확인한 내용을
참고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1세대1주택은 특례 적용되는
부분이 있어서 알고 계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재산세 계산법
공시지가 x 공정시장가액비율 = 과세표준
과세표준 x 세율 = 재산세
위를 안고 아래를 보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