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지투기 임장지역 HELP!

25.09.23

 

안녕하세요. 이번 지투기를 신청하고 임장 지역을 고민중에 질문 드립니다.

 

현재 저는

- 부산 연제구

- 대구 중구 / 북구

 

이렇게 지방 앞마당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년 중순 쯤에 2호기를 할 예정이라 지방 위주로 앞마당을 넓히려고 하는데요.

 

만들고 있던 지역에 더 촘촘히 앞마당을 만들지,

아니면 이번에 강의에서 다뤄주시는 울산 지역을 가볼지 고민중입니다.

 

그중 울산 남구/중구를 가려고 하니 울산은 ktx 역이 아주 멀리 떨어져 있더라구요?

항공편을 알아보니 ktx랑 가격 차이가 좀 나구요 ㅠ

 

1. 울산 앞마당 만드신 선배님들은 서울에서 가는 교통편을 어떻게 하셨는지요?

2. 그리고 아는 지역에서 앞마당을 늘리는 것보다, 새로운 지역을 가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 여쭙고 싶습니다! (내년까지 모두 돌아볼 생각이긴 합니다! 울산은 강의와 시너지를 내려는 목적이 강하긴 해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드림텔러
25. 09. 23. 15:40

대감집대감님 안녕하세요~ 1. 울산 통도사역에 내려서 버스타고 남구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습니다. 도착하면 시내로 가는 버스가 계속 오니까 번호 확인해서 타시면 됩니다. 2. 울산이 소액으로 투자하기 좋지만 지금은 가격이 엄청 싸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그래서 부산, 대구에 앞마당도 있고 앞으로 공급도 줄어드는 부산, 대구에서 더 늘려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울산 강의를 들으면서 앞으로 다음 울산은 어디가 될지 생각하고 들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르디
25. 09. 23. 15:51

대감집대감님 안녕하세요! 지투기를 수강하면서 어느 지역을 앞마당으로 만들지 고민 하고 계시는군요! 드림텔러님께서 말씀해주신대로 저도 울산보다는 부산, 대구를 앞마당으로 만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투자금이 6천만원 이하라고 하신다면 투자기회가 아직은 그래도 남아있는 울산에 가셔야겠지만 투자금이 1억 내외라고 한다면 향후 전주, 울산처럼 공급이 줄어들면서 기회를 줄 부산, 대구가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1. 저도 울산 통도사역에서 버스를 타고 시내쪽으로 이동했습니다. 역과 울산 시내사이에 생각보다 버스가 자주 다녀서 무리없이 이동했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버스가 빨리 다녀서 네이버지도에 나오는 시간보다 더 금방 도착했었어요 ㅎㅎ 2. 광역시는 보통 두개구 이상을 앞마당으로 만들어야 그 지역에 대한 이해가 좀 더 완전해지기 때문에 두개씩은 만들고 새로운 지역을 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음 지투기도 열심히 강의와 임장 그리고 임보 완성하시기를 응원합니다!

복리매직
25. 09. 23. 15:52

안녕하세요 대감집대감님~ 지방투자 기초반 임장지를 고민하시는군요 항상 고민되는 부분인듯합니다~ 모든 임장지를 다 알아간다는게 당연한거지만 한정적인 시간에 좀 더 유리하게 가져가고 싶은 마음이 크니까요~ 울산갈때 서울 강서지역쪽에서 산다 비행기 접근이 좋다고 하면 비행기를 이용하신 경우도 많이 봤어요 KTX를 타고 다시 버스를 타는 것보다 낫다고 할때가 있더라구요 위에서 얘기 해주신데로 KTX 울산 통도사역에서 내려서 버스를 타고 각 지역구로 가는편입니다. 울산은 앞에서 드림텔러님이 말씀하신대로 엄청 싸다는 구간이 넘어가는 시기라 투자를 위해서는 저도 대구나 부산이 더 좋아 보이는데요 부산이 연제구밖에 없다는 것 부산을 더 연결해서 만들어보시는건 어떨까요? 저도 부산이 올해초엔 임장지로 없어서 투자코칭할때 제2의 도시이기때문에 수요가 큰 도시인데다가 공급이 줄어들고 있어서 수도권 투자를 계속 하게 되더라도 가져가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올해 하나 만들었을때 언제 만드나 했는데 하게 더 만들게 되긴 하니 좀 더 부산에 대한 이해가 빨라지고 좋더라구요 연제구 연결되어 있는 동래구나 남구 진구정도 이어서 연결해서 보시면 어떨지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대구를 하신다면 나머지 동구 수성구 달서구도 채우는 방법도 있어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