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초보자 BEST]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너바나, 주우이,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의 든든한 노후를 함께 하고 싶은 제이든J입니다.
사전임보를 잘 쓰고 나서 이후에 결론까지 막상 막막할때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사전임보를 통해서 해당 지역의 입지를 알게 되고,
분임을 통해 생활권 순위와 키워드로 정리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생활권의 순위와 각 생활권의 특징을 정리해보고 나서는
생활권 안에서 단지분석을 해보며 조금 더 뾰족하게 파악 해보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첫번째 단지분석을 쓴 것을 보면 저도 어떻게 써야할지 몰랐던 것 같습니다.
#임보 1~3장

이렇게 각각의 입지별로 등급을 써두고 단지임장을 하면서 느꼈던 점들을 막 써보았던 것 같습니다.
#임보 3~10장

이후에는 전고점, 조정가격된 %도 넣고 생각들도 쓰고 실거래가격들도 보면서 나름의 생각도 써보려 노력했던 것 같습니다.
#임보 10~20장

조금 더 발전 시켜서 과거에 얼마를 투자할 수 있었으며, 수익은 얼마나 낼 수 있었는지,
그 구간 안에서 역전세를 맞지는 않았는지도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지방에서는 직관적으로 현재 매매가격이 최고 전세 가격보다 싸다는 것을 보며
지금 가치가 있지만 가격적으로 싸다는 것도 느껴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저도 단지분석을 하면 모든 단지를 전부 하였었는데요.
임장보고서 20개가 넘어가면서 조금 다르게 써보게 되었습니다.
#임보 20장~30장

먼저 생활권 안에서 단지의 상/중/하 를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각 단지의 특징을 간략하게 써보고 해당 생활권에 대한 특징도 써보려 노력했습니다.

이후에는 단지끼리 특징적이 있다면 묶어보았습니다.
정해진 방식은 없으며 묶인 단지의 특징별로 저의 생각을 자유롭게 써보았던 것 같습니다.

비슷한 단지인데 왜 가격 차이가 나는 것인지 등을 파악해보면서요.
그리고 전임, 단임 하면서 파악했던 현장의 정보들을 최대한 여기에 넣어두려고 했습니다.

이렇게 복도식과 계단식이 섞여있음에 따라 가격 차이가 나면 지도 위에 한판 정리도 해보려고 노력했었습니다.

그에 따라서 가격적으로도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선호도는 어떤지, 매임할 때 어떤 질문으로 더 파악해보면 좋을지 생각해보고 단지분석을 했었습니다.
이후 투자로 연결지을때 어떤 단지를 보고, 여기 단지는 0억 이하로 투자로 유의미 할 수 있겠다는 생각도 가져보려고 노력했었습니다.
단지분석에 정답은 없습니다.
투자와 어떻게 연결 시켜 볼 것인지 판단을 하면 좋습니다.
다만 초반에 어떤 것을 해야할지 몰랐을 때 저 역시 단지 하나하나 분석하고 그 시간을 쌓아갔습니다.
교통, 학군, 환경 각각의 입지요소를 파악해보고
단지 안에서 로열동이 어디인지 생각해보고
실거래가를 보며 지금 가격은 어떤지 보고
과거의 가격을 보면서 수익률 분석, 역전세 구간이 있지는 않았는지 보고
전고점 대비 하락률도 봐오면서
저만의 정량적인 틀을 갖추며 단지분석을 해왔었습니다.
이후에는 어떻게 투자와 연결시키는 단지분석을 해볼지
모든 단지에 무의식적으로 시간만 쏟아내지 말고 정리하는 단지분석은 어떤 것인지
고민했던 시기가 저도 임보 20장 이상 썼을때 부터였습니다.
단지분석을 이런 방법으로 하는구나 정도로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