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월부챌린지

[윤이짜장] 기사, 토허제 전 막차 타기 수요로 한강 벨트 주요 지역은 지금 불장..!

25.09.18

 

 

☑️내용

  • 관망세 이어가던 서울집값, 97공급대책 이후 다시 심상치 않은 조짐.
  • 서울의 전반적 거래는 여전히 저조하지만, 마포/성동/동작/강동구 등 일부지역은 매매가격 상승 분위기 강해짐.
  •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정부 규제보다 먼저 움직여야 한다는 선점심리 작용.
  •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갈 수도.
  • 성동구 금호동 서울숲2차푸르지오 (84) 지난 6월엔 18억 거래, 최근 20억대에 계약 (+ 해당단지 84 매물은 씨가 마름)
  • 공급대책이 나오긴 했지만 실제 공급까지 이어지려면 오랜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수요자 부담감이 커지는 분위기
  • 성동구 옥수동 래미안 옥수리버젠 (84) 7월 22억 거래, 최근 25억 넘는 호가의 매물. 해당 단지는 지난 주말에만 네팀이 줄을서서 집을 보고 갔으며, 그 전주까지만 해도 4-5개 있던 20평형대 물건은 순식간에 소진.
  • 규제 공포감이 오히려 시중 유동성을 서울 핵심지역의 똘똘한 한채로 쏠림현상을 가속화 (성동/마포/강동구는 잇따른 신고가, 강북/금천/노원/도봉구는 신고가 전혀 없음.)
  • 이러한 매수세의 배경: 공급대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 추가규제 전 움직여야 한다는 조급함
  • 이번 발표된 규제지역 주담대 LTV 강화 50→40% : 다음 규제 대상을 거냥한 예고장이라는 분석이 지배적.
  • 현규제지역인 강남3구, 용산구는 고가아파트가 대부분이라 주담대LTV강화 규제는 실효성이 크지 않음. 이는 규제지역이 확대되면 효과가 굉장히 커짐.
  • 또한 토지거래허가구역지정권한을 지자체장뿐만 아니라 국토부 장관에게 확대부여한다는 방침을 밝혀 토허제 대상지역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
  • 외지인의 원정 투자 움직임도 감지.
    • 실거주 목적이 아닌 지방거주자나 갭투자자가 마포구가 토허제로 막힘을 우려해 서둘러 매물을 찾고 있음.
    • 627규제로 잠잠했던 분위기가 최근엔 호가가 뛰고, 추격매수가 시작돼 불붙는 모양새. 특히 지방사람들 움직임.
  • 이런 분위기에 집주인들은 매물을 거두거나 호가를 수억씩 올리며 ‘공급 절벽’현상을 심화시키고 있음.
  • 집주인들은 토허구역으로 지정되면 오히려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음. 전세낀 물건만 싸게 팔리고 있음.
  • 정부의 공급대책에도 정작 시장에서는 선호도 높은 한강벨트 지역의 공급 절벽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 15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강남3구+용산구 토허구역 지정을 내년 12.31까지 연장하기로 함. 

     

☑️생각정리

  • 너나위님 영상까지 보고 나니, 97대책이 더욱이 상승세에 가담했다는 생각이 듦.
  • 공급 대책 : “조급해 하지 마”, 수요 규제 : “조급해 해” 두 가지를 동시에 하는 중….
  • 수요 억제 대책이 오히려 조급함과 상승세를 부추긴 듯 하다.
  • 이렇게 되면 집값이 또 무섭게 오를 것 같기도…
  • 이번엔 다르겠지 했는데도 정권별 결과가 비슷하게 나와버리면 앞으로도 정권이 바뀔 때마다 집값 상승 하락에 대한 기대감이 이전과 같이 유지될 듯.
  • 627 규제때도 규제 전 계약에는 문제가 없었던 것이 학습됐기 때문에 당분간 이런 움직임이 지속될 것 같다.
  • 서울 집값… 어떻게 되려나?

 

 

🫙

25년 6월 신문기사

25년 7월 신문기사

25년 8월 신문기사

25년 9월 신문기사

 

 

 

 


댓글


윤이짜장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