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투자경험

청약통장 유지할까요 해지할까요? [제이든J]

25.08.27

안녕하세요. 제이든J입니다.

 

OIP.jpg

 

 

아파트 청약을 가지고 갈지 아니면 해지를 할지 많은 고민들을 말해주셨습니다.

 

해당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1. 나의 청약 가점은 확인하기

2. 해당 청약 가점으로 당첨 가능한 아파트는?

3. 기회비용 따져보기 (시간의 기회비용과 매수의 기회 vs 청약당첨의 이점)


1. 청약 가점 확인하기

 

먼저 청약가점을 확인해보기 위해서 아래의 표를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image.png

 

image.png

 

청약통장 가입기간 15년 이상 : 17점

무주택기간 15년 이상 : 32점

 

일단 기본적으로 청약통장 가입기간, 무주택기간을 만점으로 치면 만 30세부터 넣으셨다는 가정하에, 만 45세에 부양가족수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점수가 나옵니다.

 

부양가족수 0명 : 5점-> 총점 : 54점

부양가족수 1명 : 10점 -> 총점 : 59점

부양가족수 2명 : 15점 -> 총점 : 64점

부양가족수 3명 : 20점 -> 총점 : 69점

부양가족수 4명 : 25점 -> 총점 : 74점

부양가족수 5명 : 30점 -> 총점 : 79점

부양가족수 6명 : 35점 -> 총점 : 84점

 

간단하게 나의 청약점수 계산 하는 링크는 아래에 있습니다.

 

https://nhuf.molit.go.kr/FP/FP07/FP0702/FP07020701.jsp

주택도시기금

 


2. 서울 아파트 청약 점수는?

 

청약홈 > 청약 일정 및 통계 > 분양정보/경쟁률 > APT 검색 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applyhome.co.kr/ai/aia/selectAPTLttotPblancListView.do

 

 

image.png

 

일단 분양 끝판왕이었던 래미안원배일리와 최근에 적당한 분양이라 생각했던 서울원아이파크를 가져와봤습니다.

 

 

1) 래미안원배일리 (서초구)

청약기간 : 2021.06.17 ~ 2021.06.21

당첨자발표 : 2021.06.25

 

59타입 : 최저 69 / 평균 69.81 / 최고 79

74 타입 : 최저 74 / 평균 80.5 / 최고 84

 

59타입 기준 약 14억 정도가 형성되었습니다.

image.png

 

현재기준으로 본다면 약 30억 정도의 상승이 있었을 정도로

로또라고 볼 수 있겠네요.

 

 

2) 서울원 아이파크 (노원구)

청약기간 : 2024.11.25 ~ 2024.11.27

당첨자발표 : 2024.12.04

 

59타입 : 최저 66 / 평균 68 / 최고 69

72 타입 : 최저 59 / 평균 61.88 / 최고 64

84타입 : 최저 59 / 평균 63.98 / 최고 74

image.png

 

 

59타입 10억대/ 84타입 14억대 정도였습니다.

근처에 장위레디언트의 현재 가격을 보면 11억대 후반정도 되었네요.

image.png

 

 

 

물론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에 따라 각 청약의 경쟁률, 가점이 달라집니다.

물론 분양가격 역시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입니다.

 

 

래미안원베일리 최저가 69점이라고 해도 안정적으로 70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점수는

무주택기간 15년 이상 : 32점

청약통장 가입 기간 15년 이상 : 17점

+ 부양가족수에 따라 차이가 나뉩니다.

 

무주택 15년 + 청약통장 가입 15년 = 49점

부양가족수 3명 (20점)

총 69점으로 나옵니다.

 

즉 만 30세 이상부터 무주택 15년 + 청약통장가입 15년 + 부양가족수 3명 = 69점

이정도를 모으셨다면, 괜찮은 청약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우리에게 남아있는 청약을 한번 살펴볼게요.

기껏 69점까지 모았는데, 정작 우리가 좋아하는 곳이 아닌

외곽의 청약에 그 69점을 태우기는 아까우니 또 기다림의 시간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올해 아직 청약이 남아있기는 합니다.

 

잠실 르엘

방배 포레스트 자이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

래미안 트리니원

아세아

북가좌 6구역


3. 기회비용 따져보기

 

15년의 기간동안의 기다림 vs 지금부터 투자를 하는 것

 

 

래미안원페를라

- 59타입 17.5억 당첨가점 69점

 

image.png

 

 

2010년부터 얼마나 모아야 15년 동안 저축으로 17.5억이 모일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17.5억이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그냥 해볼게요 극단적인 가정으로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근처에 59타입이 현재 25억정도 하니까 지금 당장의 시세차익은 7.5억이 났습니다.

 

그럼 2010년부터 전농SK를 매수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image.png

 

 

2013.01 2.65억/1.9억 <투자금 7500만원>

2015.01 3억/2.4억 <투자금 6000만원> (+ 전세 상승분 4500만원) 2채 매수

2017.01 3.6억/3.1억 <투자금 5000만원> (+ 전세 상승분 7000만원) 2채 매수

 

현재(2025.08) 약 7.8억원 (보수적으로 7억원 가정)

=> 현재 수익 약 19.15억원

 

두 가지를 했을때의 케이스를 가져와봤습니다.

이건 과거의 일이며 앞으로는 일어나지 않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수도 있겠지만,

이런 전략도 있음을 알려드리고자 하였습니다.

 

해당 기회비용에 따라 실제로 계산을 잘 해보시고, 어떤 편익이 더 큰지가 가늠이 된다면

조금 더 쉬운 선택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정리하자면

1. 나의 청약 가점은 확인하기

2. 해당 청약 가점으로 당첨 가능한 아파트는?

3. 기회비용 따져보기

 

이 3가지를 잘 따져보고 계산을 해볼 것 같습니다.

청약점수가 60점이 되시는 분이라면 고민이 많이 되실것도 같아요.

 

더 깊은 이야기는 청약 관련 특강도 들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


행복한노부부
25. 08. 27. 08:21

무주택 기간 15년! 잘 비교해서 결정해야겠습니다♡ 든님 감사합니다💛

드림텔러
25. 08. 27. 11:09

기회비용 따져보겠습니다~! 든님 감사합니다!

창동
25. 08. 27. 12:16

튜터님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양가족이 없으면 더욱더 힘들겠네요.. 생각도 안하는게 나을것 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