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재 믿고 로얄등 로얄층 샀는데 안 팔린다... 아뿔싸!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1호 초이스 헬퍼 & 부동산 가치평가사 '시크릿브라더'입니다. 오늘은 실제 상담 사례를 바탕으로 비슷한 상황에 있으신 분들께 도움을 드리기 위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정규반 수강생분들이나 시부방 단톡방에 계신 분들 외에도 제 가족들이나 지인들의 상담을 정말 많이 하게 되는데요. 모든 분들께 진심을 다해 조언을 드리지만 지인들의 경우


이런 집을 선택해야 10년에 2배 더 오릅니다.
안녕하세요. 잔쟈니입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선선하더니 며칠 새 부쩍 낮기온이 30도를 넘나들며 더운 날씨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밤에 창문을 열어놓고 자도 그리 춥지 않은 계절이 된 것 같습니다. 날씨 뿐 아니라,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도 조금씩 따뜻해져옴이 느껴집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엔 보유한 집을 팔고 더 좋은 곳으로 갈아타는 게 좋을지 매도에


아실 120% 활용하는 초간단법 [초보라면 필독!]
안녕하세요, 양파으니입니다 :) 부동산 관련 사이트가 정말 많은데, 요즘 제가 정말 많이 활용하고 있는 '아실' (아파트실거래가) 120% 활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아실에서 늘 보던 메뉴만 보고 계셨던 분들, 시장 전반적인 상황이 궁금했던 분들 모두 주목해주세요 ! 그리고 마지막에는 임보 1page 정리로 제가 어떻게 정리하는지 알려드릴게요! �


[너바나] 강의를 내려놓는 이유.
안녕하세요? 너바나입니다. 이번에 열반스쿨 중급반을 마지막으로 당분간 열반스쿨 중급반은 진행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월부의 시작은 가벼운 재무코칭에서 시작했습니다. 2014년 블로그와 까페를 시작하고 참 많은 분들을 만났습니다. 많이 만나면서 놀라고 충격을 받은 것은 생각보다 올바른 내집마련이나 노후준비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치솟는 금리에 "이런 생각까지..." (지금같은 때에 매수 타이밍 잡는 법)
안녕하세요. 라즈베리입니다. 2021년 0.5%였던 기준금리는 2024년 3.5%로 무려 7배가 올랐으며, 1년 이상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집값이 많이 떨어져서 기회인 것을 알아도 부동산과 레버리지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보니 금리의 변동 또한 관심사일 수 밖에 없습니다. 뉴스기사에서는 곧 금리가 떨어질 것처럼 끊임없이 희망고문을 하고 있


과거 전고점 거품 같은데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젊은우리입니다^^ 오늘은 전고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전고점이란 무엇일까? 전고점 = 직전에 찍은 고점 출처: 아실 즉, 과거에서 현재까지 찍은 가격 중에 직전에 찍은 가장 높은 가격을 의미합니다! 그러면!! 대체 이 전고점을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요? 아마 다들 한 번씩은 의심해 보시지 않으셨나요? 이 전고점을 어디까지 믿어야 하는지


지금 서울 수도권 투자하려면 최소 '이 정도' 까지는 모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금요일의 센쓰입니다 :) 서울 수도권에 기회가 온다고는 하는데.. 기회가 언제쯤 올 수 있을지, 지금 투자금은 얼마나 들어가는지 잘 몰라서 답답한 부분들이 많지 않으셨나요? 그래서 지금 현재 서울 수도권을 중심으로 얼마 정도의 가격대를 보이고 있고 투자금이 얼마 들어가는 시장인지 한 눈에 보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정말 쉽고 간단한 방법이니


11월, 전국 지역별 대장 아파트 가격 순위는?
안녕하세요 프메퍼입니다 :) 11월달 랜드마크 대장 아파트 순위도 정리해왔습니다 :) (11월 주간 주택시장 동향은 매주 금요일 업데이트 됩니다) #전국 대장아파트 #전국 랜드마크아파트 23.11월 전국 랜드마크(대장) 아파트 순위 및 시세지도입니다 (30평형대 기준) 수도권 / 지방 광역시 및 중소도시 전반적으로 전세 가격 상승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웰뜨] 전국 시군구별 근로자, 거주자 소득 리스트업 & 지도처럼 한 눈에 보기(feat. 너나위님의 업무지구별 소득! 최신 버전으로 재탄생)
원본 작성일 : 21.11.18 임보를 위해 소득 부분에서 원천징수지와 주소지 기준으로 정리한 자료를 만들어 추출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소득이 많은 순서대로 보는 것 뿐만 아니라, 지도처럼 펼쳐놓고 한 눈에 확인도 하고 싶어.. 수도권과 50만 이상 지방 지역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인구, 직장과 같이 많이 쓰이는 부분들은 이미 공유가 많이 된 것 같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