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응원

지금 시장에서 자산을 가진다는 것의 의미 [도리밍]

25.11.07

안녕하세요 도리밍입니다😊

 

최근 월세 자산 재배치를 준비하다

결국 이사를 포기했습니다 ㅠㅠ

단지 내 월세 매물이 거의 없고

지난여름에 알아봤을 때보다

가격이 훌쩍 올라버렸더라구요

 

 

 

 

 

그리고 얼마전에는 12월 잔금 예정인 서울 물건의 세입자분이

계약만기(26년 10월)보다 1년이나 일찍

전세를 재계약하고 싶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매수할 당시에는 전세가 높게 껴져있어 

역전세를 걱정했지만

전세 시세를 보니 몇 달 사이 전세가가 

5천만원 이상 올랐더라구요

 내년 만기 시점 시세로 계약하자 말씀드렸습니다

 

 

 

 

 


 

 

만약 제가 지금 무주택 상태로

전세 만기를 앞두고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5% 갱신권을 써서 기뻐했을지 모르지만

막상 만기 시점에 시세가 적게는 수천, 많게는 1-2억씩

차이가 나 있다면 아찔했을 것 같습니다

 

지난 상승장이었던 20년, 임대차 3법이 시행된 직후

친한 직장 동료가 신혼집 전세를 구하러 갔다가

경쟁자 3명과 가위바위보를 하고 왔다는 얘기가 생각났습니다

그때도 전세난이라는 말이 나왔었습니다

그리고 5년이 지난 지금 다시

'전세 소멸', '전세난'이라는 단어가 들려오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헷지

 

 

 

이런 시장에서 자산을 갖는다는 것은

단순히 부동산을 보유한다는 의미를 넘어서는 것 같습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파도 속에서

파도를 타며 자리를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를 5억,

수원 아파트를 3억이라고 가정해볼게요

두 곳 모두 5%씩 올라도

서울은 2,500만 원, 수원은 1,500만 원이 오릅니다

단순히 거주지를 분리해도 

전세가 차익 1,000만 원의 흐름이 생기는 셈이죠

 

 

 

서울 중위 아파트(10억대) 기준으로,

2020년 이후 4년간 전세가는 약 30% 상승했습니다

5억이던 전세가가 6.5억이 됐다면,

수원의 3억이 3.9억이 된 것보다 상승 폭이 훨씬 큽니다

 

즉, 서울에 자산을 보유하고 수원에서 거주한다면

전세가를 올려주고도 현금 흐름이 남는 구조가 가능합니다

이 돈으로는 추가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홍제동 청구1차, 전농sk 기준

20년 임대차 3법이 시행되고 난 이후

전세가가 4년간 평균 30% 정도 올랐네요

 

image.png

 

 

 

 

#노후준비

 

 

그래서 저는 노후준비를 위해

월부에서 아파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저희 조부모님은 수원에 있는 아파트 두 채로

노후 준비를 마치셨는데요

 

 

A아파트는 장안구 천천동에 있는 98년식,

B아파트는 장안구 조원동에 있는 99년식 아파트로

98년에 A아파트를 분양가 8천만원 정도에

대출 2천 정도를 포함하여 매수하고

몇 년 안에 그 대출을 다 갚으셨습니다

 

그리고 나서 B아파트를 1억대에 한 채 더 매수를 하고

이 아파트를 매수한 뒤 월세를 주시고

대출이자를 내고 남는 돈으로 몇년 안에

대출을 모두 갚으셨습니다

 

그 뒤로는 은퇴를 하시고

A아파트에서는 실거주를 하고

B아파트에서 나오는 월세 수입으로

노년을 보내셨는데요

 

 

image.png

 

 

 

 

자산을 보유하면서 지켜낸다면

노후를 안전하게 보낼 수 있다는 것을

누구에게 배우지는 않았지만

온 몸으로 체득하고 계셨던 것 같습니다

 

저또한 그 모습을 보고 자랐기 때문에

아파트로 노후준비를 할 수 있다는 것에

확신을 가졌던 것 같습니다

 

 


 

 

현금 유동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산을 가진다는 것은

가족과의 안전한 보금자리는 지키는 동시에

시간을 번다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1. 가치 있는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자산현황을 점검하는 것(예산 체크)

2. 내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실거주/투자 결정하기(방향성 설정)

3. 가치있는 자산을 알아보는 눈 기르기(역량 향상)

3. 살 수 있는 자산 중 비싸지 않다면 가장 좋은 것을 사는 것(인플레 헤지)

 

 

 

결국 반복되는 시장 상황 속에서

준비된 사람이 기회를 잡는다는 것을 항상 느낍니다

전세난이든 규제든 정책이든

시장은 늘 변화하지만 본질은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도 저는 이 상황에서도

할 수 있는 최선이 무엇인지 고민하며

가치 있는 자산을 찾으려 애쓰고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각자의 자리에서

자산을 지키고 

기회를 준비하는 시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험담]

올해 서울에 2채를 매수했습니다 

인천 나홀로 팔고 서울4급지로 갈아탔습니다 

전세만 사는 사촌동생에게 수도권 4급지 신축 아파트를 사줬습니다 

서울의 대규모 입주장에서 전세빼기 

기회가 될 수 있는 상속 물건 잡는 법
서울에서 현금 세입자 찾는 최적의 조건 

도생, 생숙, 오피스텔 매수해도 괜찮을까?

편견을 깨고 기회를 잡는 법 

네고에 너무 집착하지 마세요 

 

 

[생각/마인드]

2년 뒤에 투자할 수 있어 마음이 안 잡히는 분들께 

6.27 대출규제 이후 기회를 잡는 사람은 누굴까? 

대출규제가 되면 투자를 못할까? 

당신은 어떤 인생을 살아갈 것인가요? 

놓친 기회일까, 아직 기회일까 

싱크홀이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칠까? 

스스로의 잠재력을 믿어주고 나아가는 법 

강의를 앞두고 조장, 반장 지원에 망설여 진다면

10.15 규제가 터지고 준비된 사람은 어떤 결과를 얻었을까?

이런 시기일수록 조심해야 합니다[도리밍]

 

 

[투자/지역 이야기]

요즘 안양 평촌이 어떤지 아세요? 

부산으로 보는 점을 찍는 투자자가 되는법 

지방 vs 수도권 나는 어디를 투자할까? 

용의머리, 뱀의꼬리 어디가 더 나을까? 

실전 투자로 이어지는 시세 루틴💥(+매물 트래킹 장표제공)

 

 

[독서]

2025년 월부 추천도서 100권 리스트 

 

 

 


댓글


허씨허씨creator badge
25.11.07 10:53

지금 시장에서 자산을 가지는 중요성을 실제 경험을 통해 말씀해주시니 더 와닿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Co델리아
25.11.07 11:20

자산재배치 인플헷지 좋은글 감사합니다!!!

25.11.07 11:21

오오 찐경험담 넘 와닿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