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투자경험

리스크헷지의 진정한 의미 [윤이나]

  • 25.07.23

 

 

 

 

안녕하세요.

선함에 빛이 나는 투자자,

사람을 살리는 투자자

윤이나입니다 :)

우리 열반스쿨 기초반에서 배웠던

투자의 기본원칙,

 

'(평가), (금성), (익률),(금보존),(스크헷지)' 를

하나하나 살펴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다섯번째인 ‘리스크헷지’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 부루마블 속의 ‘리스크’

 

출처 : https://zrr.kr/GPbyoe

 

여러분, 

부루마블 해보셨나요?

 

 

부루마블의 리스크는

 200만원 짜리 ‘서울’이나

50만원짜리 ‘부산입니다.

 

 

내가 그 땅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 땅을 밟는 순간 200만원, 100만원, 50만원

통장을 스쳐 지나가게 되는 것인데요.

 

 

한바퀴..

두바퀴…

 

이렇게 10만원씩 월급을 받으며 돌 때마다

내가 이 ‘서울’ 땅이나 ‘부산’ 땅을 밟을 확률

점점 높아지겠죠?

 

이 ‘리스크’를 없앨 수 있을까요?

 

 

내가 부루마블 판을

떠나지 않는 한,

 

이 리스크는 숨쉬듯 

옆에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리스크에 대해 가지고 있는

편견과 올바른 생각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 리스크가 0인 투자는 없다

 

 

 

‘튜터님, 전세낀 걸 샀는데요..

세입자가 중간에 나가시면 어떻게 하나요?'

 

'튜터님, 이것 역시도 위험요소 같아요.

이 위험부담을 ‘0’ 상태로 만들고 싶어요'

 

 

튜터링 제자분들이 많이 물어보시는 질문입니다.

 

이 질문의 본질은

'수익은 얻고 싶은데, 

위험부담은 0으로 만들고 싶어' 

의 마음인데요.

 

 

자본소득을 통해 돈을 불릴 때에는

‘리스크 zero’ 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편익과 비용의 관점을 정확히 알고,

내가 스스로 ‘선택’할 줄 알아야합니다.

 

 

 

 

 

 

# 리스크를 인지할 때,

그것은 나에게 더이상 리스크가 아니다

 

 

 

위 단지는 천안 내에서도 

꽤 수요가 높은 단지입니다.

 

이 단지의 경우

재작년 투자고려시점에는

3년 공급량이 많지 않았지만,

 

어느샌가 하나둘씩 생기더니

현재는 꽤나 많아졌습니다.

 

 

 

그렇다면

 

매수당시

공급 리스크를 알지 못했을 

해당 단지 매수자는

현재 낙담하고 있을까요?

 

 

 

 

정답은 ‘NO’ 입니다.

 

 

연 저축액이 높은 직장인 A씨의 경우엔

여전히 저평가 되었다고 생각하며

가치를 찾을 때까지 기다리고 있구요.

 

연 저축액이 높지 않은 직장인 B씨의 경우에는

끊임없이 해당 투자금으로 더 나은 단지가 없을까

매도를 고려중입니다.

 

 

또 내가 계속 보유해나간다 하더라도

‘입주’ 라는 리스크를 계속해서

‘인지’ 하고 있기에 

 

내 단지 전세가 재계약/갱신 시점에 

전세가가 떨어져 역전세가 나지는 않을지,

 

그렇다면 6개월전에 재계약을 해야하는 건 아닌지

 

 

계속해서 ‘대응’ 해나가고 있습니다.

 

 

 

 

# 결론은요

 

 

 

‘리스크’ 라는 측정가능한 모든 변수를 대비하는 것은 

너무나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리스크’를 완벽하게 헷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충분히 연구했다면,

이후는 ‘대응’ 의 영역임을 기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우리가 대비할 수 있는 리스크에는

무엇이 있는지 다루어볼게요!

 

 

마음 차분히 먹고, ‘저환수원리’에 맞는지

하나하나 체크하면서

절대  ‘잃지 않는 투자’ 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윤이나 시리즈]

● 대표글

- 30대 싱글 부린이, 월부시작 1년만에 4천만원으로 1호기 매수했습니다 인기글

- 안산구축 매도후 서울 2급지 신축 투자 후기Best 어게글

 

● 경험담 시리즈

- 초보 싱글 투자자 내 잔금 여력 알아보기 인기글

- 지역내 랜드마크, 2천만원을 네고 했음에도 계약하지 않았습니다

- 샀는데.. 사지못했습니다

- 세입자가 되어 알게된 세 잘빠지는 매물 TOP3 Best 어게글

- 규제시장 속에서도 방법은 있다(feat.전세대출이 필요없는 법인세입자 물건) (+실제 특약첨부) 인기글

- 너무 좋은 매물을 5천만원 싸게 사는 방법이 있다고요? (feat.임차권 등기명령과 리스크헷지) 인기글

 

● 인사이트 시리즈

- 전고점만 비교해보고 답을 내리지는 않았나요? 전고점의 유혹

- 실제 투자로 이어지는 1등 뽑기 '이후' 프로세스(+양식 첨부)인기글

- '결론'파트에 꼭 들어가야 할 투자와 직결되는 One page / 시세트래킹 양식까지 [+양식첨부]

- 분양권 투자하는 방법

- 대규모 입주가 있다는데.. 지금 투자할까요? 기다렸다 투자할까요? 

 

● 저환수원리 시리즈

- 전고 대비 -00%가 저평가 아니에요?

-전고점 대신 저평가 판단하는 방법_첫번째 이야기

-전고점 대신 저평가 판단하는 방법_두번째 이야기

- 동향,탑층,사이드만 피하면 돼?! 서울투자 환금성의 진짜 의미

 

● 생각/마인드/관계

- 한달간 비효율을 반복하며 얻은 것들(feat.동료의 힘)

- 월부학교와 TF활동, 모두 프로가 되고싶어요(Feat.우당탕탕 한달일기)인기글

- 우당탕탕 첫 반장이자, 프로 투자자가 되고싶었던 2번째 학기를 보내며

 

● 강의과제 작성팁

- Tip! 임보작성시간을 파트별로 체크해보고 싶다면?

- 지방임장 준비물, 매번 뭘 챙겨야할지 막막하신가요? (+ 준비물 체크양식 공유) Best 어게글

- 안쓰는 핸드폰만 있다면 한달 990원으로 전임준비끝!Best 어게글

 


댓글


집심마니
25. 07. 23. 18:53

리스크 헷지의 진정한 의미 감사합니다 이나님 :)

허씨허씨
25. 07. 23. 18:59

리스크를 완벽하게 헷지하는 건 불가능하다. 대응의 영역임을 잊지 않겠습니다:)

제이든J
25. 07. 23. 19:14

리스크를 인지하고 항상 대응해나가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