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초보자 BEST]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너바나, 주우이,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도리밍입니다😊

지투 실전반이 마무리되면서
최임도 제출하고, 행복버튼도 누르고,
이제는 최종 오프 모임만 남겨둔 시점이네요
한편으로는 ‘앞마당 TOP3’나 ‘앞마당 1page 정리’ 등
채우지 못한 장표들이 아른거리며
조금의 아쉬움이 남을 수도 있습니다
💡시세 루틴, 혹시 숙제처럼 하고 있진 않나요?
지금 투자를 앞두고 있다면
시세 트래킹 혹은 전수조사를 병행하고 계실 텐데요
혹시 기계적으로 시세만 따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다음 중 2개 이상이 해당된다면,
지금의 시세 루틴은 ‘숙제형 루틴’일 가능성이 큽니다
1️⃣ 시세만 따고 끝난다
2️⃣ 해당 지역의 매매·전세·입주 분위기를 잘 모른다
3️⃣ 투자 가능한 지역인데도 실제 투자 가능한 매물을 모른다
4️⃣ 해당 지역에 전임한지 6개월 이상 지났다
(즉, 앞마당을 만들고 방치된 상태다)
🪄이 글을 따라 하면 생기는 변화 3가지
1) 시세조사 지역의 현장 분위기를 체감할 수 있어요
2) 앞마당 TOP3가 자연스럽게 정리돼요
3)투자 가능한 매물 단위로 파악이 가능해져요
우리의 가장 큰 문제는 앞마당을 만들고 시세를 딸 때
굉장히 숙제 같이 시세를 따고 있죠..?
지난달에 땄던 시세와 얼마나 달라졌는지,
전세 매물이 없다면 최근 실거래가 얼마에 찍혔는지,
가격이 싼 매물이 있다면 왜 싸게 나왔는지,
지금 현재 전세가 없는 지역이라면
실제로 나가는 전세가는 얼마일지,
디테일하게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제 시세트래킹 엑셀 파일에는
매월 변화되는 매매가, 전세가 가격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가격만 쭉 적어서는
투자까지 이어지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한 단계 더 나아가야 하는데요
🔍단계 1: 전세 시세가 없는 지역은 이렇게 확인하세요
최근엔 전세 호가를 채울 수 없는 지역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래 두 가지 방법으로 보완해 보세요
1) 최근 전세 실거래가를 직접 기록한다
2) 투자 타깃 지역의 전세 시세를 전임으로 확인한다
예: 투자금 1억대, 매매가 6~7억 단지
주변 단지 전세 실거래가까지 반드시 파악
🧭단계 2: ‘매물 단위 트래킹’으로 확장하기
제가 주로 쓰는 방식을 추천 드립니다
1) 시세 조사 (스캐닝/트래킹/전수조사)
2) 저평가 혹은 투자 가능 범위의 매물을
캡처 후 ‘나에게 보내기’ 혹은 링크 전송
3) 매물 트래킹 장표에 정리
- 지도(위치), 매물 정보, 현장 분위기,
최근 실거래(매매/전세), 전임 결과 등
이 것들이 쌓여 매물 분석으로 이어지며,
비슷한 조건의 매물 간 비교평가까지 이어집니다


🏠결국 ‘앞마당 TOP3’는 이렇게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쌓인 데이터를 통해
투자금 기준에 맞는 매물을 비교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앞마당 TOP3가 도출됩니다
저 역시 올해 초 진행한 서울 투자 때
시세루틴 & 매물 트래킹을 통해 물건을 찾았고
매물 별로 관리를 하면서
내 조건에 더 좋은 매물을 계속 쌓이며
최종 투자를 결정할 수 있었는데요

🎯투자자의 본질은 ‘실력’입니다
”돈을 쫓지 말고, 본질을 쫓아라“
투자자의 본질은 결국 실력입니다
우리가 실력을 쌓는 다는 것은
끊임없이 아파트의 가치를 파악하고 비교하며
매물을 찾아서 내 투자금으로 최선의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제가 쓰는 매물 트래킹 & 비교평가 장표를 공유 드립니다
투자 가능한 매물을 손에 쥐고 다니는
투자자가 되시기 바랍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험담]
전세만 사는 사촌동생에게 수도권 4급지 신축 아파트를 사줬습니다
기회가 될 수 있는 상속 물건 잡는 법
서울에서 현금 세입자 찾는 최적의 조건 
[생각/마인드]
10.15 규제가 터지고 준비된 사람은 어떤 결과를 얻었을까?
[투자/지역 이야기]
[독서]
매물트래킹양식_도리밍.pptx
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너바나, 주우이, 자음과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