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나가는 세입자가 돈을 달라고 합니다. 줘야할까요? (질권설정 전세금 반환 매뉴얼) [티티윤]
안녕하세요 어제 전세 계약되었다고 들었습니다 계약금 보내주시면 저도 바로 집 알아보겠습니다 00은행 (ㅁㅁㅁ) 888-88-8888-888 저녁시간, 핸드폰을 확인하니 현 임차인에게 문자가 와있습니다. 어제 신규 전세 계약이 완료되었는데, 그 계약금을 본인에게 보내달라구요? 사전 협의 없이 이런 당당함 이라니 ! 계약금을 보내줘야 할 것만 같아 !! 이사갈

질권임차인 만기시 보증금 반환 어떻게? 어디로? [먀먀둥이]
안녕하세요 성실하고 꾸준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투자자 먀먀둥이 입니다. 혹시 내 임차인의 보증금이 질권설정 되어있으신가요? 지난번 아래글에서 내 임차인의 임차보증금이 질권설정 되어있는경우 임대인이 해야할일을 4단계로 정리하였습니다. ※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https://cafe.naver.com/wecando7/10783191 그리고 어느덧 2년이 지


세입자 보증금이 질권설정, 채권양도설정 되었다면 이렇게 진행됩니다 [호재라이언]
안녕하세요. 호재라이언입니다. 오늘은 질권설정과 채권양도에 대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전세 계약한 임차인이 전세대출을 받았을 경우, 대출상품이나 실행한 은행에 따라 질권설정이나 채권양도가 진행 될 때가 있습니다. 질권설정이나 채원양도설정이 되어 있을 때 임차인의 보증금을 임차인에게 직접 입금하지 않고 은행에 입금해야 한다는 것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십

그뤠잇_전세금 질권 설정 시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그뤠잇입니다. 오늘은 조금은 생소할 수 있는 전세금 질권 설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신혼 때부터 투자를 시작하여 세입자로써 전세 계약을 3번, 월세 계약을 1번 총 4번의 계약을 진행하였는데요. 그 중 1회 질권 설정을 한 후 전세금 대출을 실행했었습니다. 당시에는 부동산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었기에 질권 설정이 대체 모지? 라는


🏠 부동산 가기 전! 전화로 미리 확인해야 할 필수 질문
부동산 방문 전, 꼭 물어봐야 할 체크리스트 안녕하세요 :) 머릿돌이 될 버린돌 입니다. 이전에 매물임장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 내 투자금에 맞는 아파트 고르는 꿀팁! (매물임장 단지선정 방법) [버린돌] 오늘은 부동산에 집을 보러 가기 전, ‘미리 알고가면 좋은 것들’에 대해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 이 글을 읽으면 부동산 전혀 모르는


부동산 매매 전세계약 주의사항 특약모음집 [이십만키로]
매매/전세계약 주의사항 특약모음집 (feat.매매전세계약 프로세스) 2024-01-31 안녕하세요 이십만키로 입니다. 일전에 세낀물건을 매수하면서 부동산사장님이 세입자의 편의를 봐주기위해 말도안되는 특약을 매수예정자인 저와 논의없이 진행을하는 바람에 저는 특약으로 인해 꼼짝없이 모든 일정을 세입자의 편의에 맞춰서 임차를 해주는 억울한 일이있었는데요. 이때

투자 후 이것만은 놓치지 마세요 [수잔30]
안녕하세요 수잔입니다 :) 요즘 투자물건 찾으러 다니시느라 많이들 바쁘시죠? 매매 계약서를 작성하셨다면? "우와~" 전세 계약서까지 작성하셨다면? "우와아아아아아!!!" 등기권리증까지 나왔다면? "꺄아아아아아아아아~~~~~!!!" ... 대략 이런 느낌이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단 한 번의 투자가 우리의 끝이 아니기에, 다주택의 길을 향해 걷고 계시는
[일분일초]투자하셨나요?🎉잔금일 준비 방법 _ D-30일
안녕하세요 일분일초입니다. 부동산 계약 잔금일 너무 우당탕탕했던 경험이 있어요. 정말 정신 없었거든요. 😅 그래서 여러분은 저처럼 당황하지 않게 미리 준비할 수 있는 팁을 나누고자 합니다. 한 달 전 부터 잔금일을 준비하며 어떻게 스케줄링을 해야하는지 한 달로 일정을 나눠보려 합니다. D- 30일 전 첫 준비! 1️⃣ 법무사 견적 비교 (최소 3곳 이상!

꼭 알아야 할 취득세 카드 분할 납부 방법 (ft. 미리 준비하세요!) [웰뜨]
지방에서 8%를 내고 취득세를 낸 적은 있지만 오랜만에 서울에 투자하면서 절대가 자체가 큰 금액에 2%를 내는 것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이전에 8%를 낼 때는 카드로 납부했고 일시적으로 특별 한도를 다행히 늘려 주셔서 무난하게 한 번에 결제를 했는데요, 이번에도 그렇게 하면 되겠지 했다가 어휴.. 정말 당일에 등기 못 칠 뻔 했습니다. 현금으로 내도 되


진짜 25억 자산가가 요즘 부동산에 가서 "꼭" 하는 질문들
안녕하세요. 새벽보기입니다. 날이 갑자기 더워졌어요. 어제 임장을 하다가 식사하러 식당에 들어갔는데 에어컨을 틀었더라고요. 순간 얼마나 정말 반갑던지요. 날씨 체크 하지 않고 나갔다가 엄청 땀흘리고 왔어요. 더우니까 이 아파트 저 아파트 똑같이 보이고, 한여름에 임장했던 기억들 많이 나더라고요. 날 더워서 어지러우실 땐 잠시 쉬시면서 재정비 꼭 하셔야합니

잔금일, 100만원 아끼는 3가지 방법
안녕하세요. 선한 영향력을 가진 투자자로 성장하고 싶은 정리왕 입니다. 1호기 투자를 마치고, 계약서 까지 쓰고 나면 나 이제 좀 쉴께~ 라는 마음이 스물스물 올라오는데요. (제가 그랬고요) 잔금일에 챙겨야 할 것들이 생각보다 많거든요! (잔금하러가는 버스 안에서, 바빴던 저…반성하며) 그 때! 나를 바로 세우고 100만원 아끼는 체크 리스트 이 3가지만

잔금 치르러 가기 직전, 이 글 하나만 보면 준비 끝!
안녕하세요, 영앤리치한 자산가가 될 영리자입니다. 오늘 드디어 1호기 잔금을 치르고 왔습니다. 아직 1호기 복기글은 안올렸지만 (매수, 전세빼기 글은 차차 업뎃 예정입니다^^) 잔금 치르는 과정을 이번에 제대로 배우면서 잔금을 앞둔 다른 동료분들을 위해서, 또 2호기, 3호기 잔금을 칠 미래의 나를 위해서도 이번 잔금 프로세스를 바로 정리 해보려 합니다.
잔금 준비 프로세스 총정리! (가고파요이제)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로 가고픈 가고파요이제입니다:) 최근 작년 하반기에 투자했던 물건 전세를 맞추기 위한 준비를 했는데요. 전세빼기 황금기가 흘러가고.. 잔금, 어떻게 준비하지? 과정 중 이런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꽤 많으실거라 생각하는데요. 실제 잔금시 준비해야 할 것들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매수 전 잔금 가능 여부에 대해서 시나리오 돌려보신 다음

어려운 부동산 등기비용, '이걸' 모르면 덤탱이 써요! (직접 확인하는 법)
안녕하세요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그릿'으로 행복한 부자가 될 혜머니 입니다 :) 어제 2호기 잔금을 무사히 치르고 왔습니다. 이번 3개월은 왜 이리 길었는지 ㅎ 아무튼 두번째 잔금을 하면서 법무비도 두번째 내게 되었는데요 잔금 당일, 채권할인료를 다시 확인해주신 법무사님이 공시지가가 1000만원이나 올랐네요~ 하시며 바뀐 채권할인료가 적힌 법무 견적서


인지세, 등기 때 법무사님이 처리해주는 거 아닌가요? (잘 확인하고 계약하세요!!) [웰뜨]
원본 작성일 : 22.06.07 투자를 진행하며 가계약부터 등기까지 1등 뽑기까지의 과정과 실제 투자 과정과는 경험 자체가 다르다는걸 많이 느꼈습니다. 투자를 지속하기 위해 1년 안에 1호기를 하라고 하시는 것도 있지만 이론과 실제는 경험이 다르기에 1호기를 진행해보라고 하시는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2호기를 진행하면서 (아직 경험담 못 적었...) 뜻밖


세금 시리즈 1탄. 매수할 때 알아야할 취득세 총정리
현재 제주바다 멘토님과 우리 와니즈와 함께 월부학교를 들으면서 공부하게 된 세금에 대해 월부분들도 알면 좋을 것 같아 글로 정리를 해 보려고 합니다. 세금 시리즈에서 오늘은! 바로~~ 취득세에 대해 설명드려보려고 하는데요! 1주택까지는 부담스럽지 않지만 돈이 없는 우리는.. 채수를 늘려 가면서 취득세도 무시할 수 없는 구간이 됩니다. 하지만! 걱정보

97년식 구축 30평대 올수리 경험담 (가성비 실거주, 세부 견적 공개)
안녕하세요. 월부의 모두는 "열심히 사는 사람들" 열사사입니다. 지난 2024년 12월, 부모님 실거주집을 매수하고 샷시 제외 올수리로 가성비 실거주 인테리어를 진행했습니다. 첫 인테리어이기도 하고 예산도 제한되어 있어 정신이 혼미해지는 순간들이 몇몇 번 있었지만 다행히도 잘 진행이 되었네요. 오늘은 첫 인테리어를 통해 배운 점, 다음번에 적용할 점 등을


20대 부동산 투자 2,500만원으로 시작하고 절대 후회하지 않는 이유 (30대에 얻을 수 있는 것)
20대에 진즉 부동산 투자를 시작했더라면… 이제 막 취직한 20대에 월급을 받고나면 어떻게 써야 현명할지 궁금해집니다. 1~2년차가 지나면 이대로 저축만 하는 게 맞을지 투자를 하고 싶어지기도 하는데요. 사실 그 중 가장 멀게 느껴지는 투자가 부동산 투자일 것 같습니다. 20대에 부동산 투자라니, 너무 막막하고 종잣돈도 겨우 없는데 할 수 있을까? 20대부
